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소방기계실기
문제16번 관포체적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 작성자
- 김민보
- 작성일
- 2025-09-24 14:21:28
- No.
- 183043
- 교재명
- 소방설비(산업)기사 기계분야 실기 기출문제집
- 페이지
- p495
- 번호/내용
- 문제16/ 관포체적
- 강사명
- 이창선
영상에서 관포체적이란 방호대상물 높이에 0.5m를 가산한 체적이라고 하셨는데요.
첫번째로,
조건에 1m^3에 대한 분당 포수용액 방출량이 주어져서
포수용액의 양 구하는 공식에 바닥면적대신 관포체적이 쓰인건지 궁금합니다.
두번째로,
조건에 1m^3에 대한 분당 포수용액의 방출량이 주어지면
포수용액의 양을 구할때 관포체적을 이용하여 구하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회원님.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에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1) 고정포방출구(포발생기가 분리되어 있는 것은 해당 포발생기를 포함한다)는 특정소방대상물 및 포의 팽창비에 따른 종별에 따라 해당 방호구역의 관포체적(해당 바닥 면으로부터 방호대상물의 높이보다 0.5m 높은 위치까지의 체적을 말한다) 1㎥에 대하여 1분당 방출량이 다음 표에 따른 양 이상이 되도록 할 것
(2) 고정포방출구는 바닥면적 500㎡마다 1개 이상으로 하여 방호대상물의 화재를 유효하게 소화할 수 있도록 할 것
1m³에 대한 분당 포수용액의 방출량이 주어져서 관포체적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고 고정포방출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관포체적이 적용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