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능사필기
복소수표시 이유가궁금합니다
- 작성자
- 홍이
- 작성일
- 2025-05-12 00:51:41
- No.
- 178447
- 교재명
- 2025전기기능사 필기 이론
- 페이지
- 155
- 번호/내용
- 16번
- 강사명
- 전병칠
문제에 Xc가 8옴 으로 나와있는데
왜 복소수로 나타내는건가요?
임피던스 공식으로 Z=루트 6제곱 + 8제곱 으로 10 옴
해서 V=IR. 해서 100v. 아닌가요?
- 첨부파일 : 1000018664.jpg (2.71MB)
말씀해 주신 "크기"를 구하는 방법으로 풀이하셔도 무방합니다.
다만, 문제의 보기 형태를 보시면 복소수 형식(j가 포함된 식)으로 되어있기에 "크기"의 관점 보다는 "복소수"의 관점으로 접근해 주셔야 합니다.
아래의 설명에서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리액턴스는 무효 성분이기에 벡터적인 방향성을 갖습니다.
때문에 XL(유도성 리액턴스)은 +j가 붙고, Xc(용량성 리액턴스)는 -j가 붙습니다.
문제에서 R값은 6이고, Xc값은 8이므로 임피던스 Z=6-j8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옴의 법칙에 의하여 전류 10A와 곱해주면 전압값이 됩니다.
즉, V=10(6-j8)=60-j80이 됩니다. 이 값을 크기로 바꾸면 100V가 도출됩니다.
정리해 보면, 크기로 구하든 복소수로 구하든 그 값은 같은 값이고 표현하는 형태만 다를뿐입니다.
문제의 보기에서는 복소수의 형태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복소수의 형태로 답안을 작성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