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전력공학 질문있습니다.
- 작성자
- 김동환
- 작성일
- 2025-01-24 19:13:10
- No.
- 174114
- 교재명
- 전력공학
- 페이지
- 1
- 번호/내용
- 1
- 강사명
- 최종인
양기호와 단위기호 차이가 뭔가요?
25
1.복도체 사용시 송전용량이 증가한다고 돼어있는데
송전용량 P = Vs Vr/ X Sin 델타
L이 20%감소 C가 20%증가하는데 X가 감소하나요?
2.전선과 대지사이 전하가 충전될때
거리가 짧으면 C가 크고 거리가 길면 C가 작은 이유가뭔가요?
P45
전파정수에서
감쇠정수는 단위길이당 전압의 크기가 얼마나 감소하냐인데
전파정수가 진폭이 변해 가는 특성인 이유가 뭔가요?
P53
수전단 단락시 직렬 임피던스가 개방시 병렬 어드미턴스가 살아남는다고 했는데
단락= 수전단 임피던스 0이니까 직렬임피던스는 선로의 임피던스
개방시 = 개방부분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니까 병렬어드미턴스도 수전단부분이 아닌 선로의 어드미턴스인가요?
p56
1. 조상설비가 무효전력을 조절하여 역률을 개선시킨다는건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위상을 조절한다는건 무슨의미고
위상조절과 역률 개선은 무슨 관게가 있나요?
2. 페란티 현상이
보통 선로가 지상, L인경우가 많은데
전선과 대지사이에 전하가 충전되면 C로 작용하여
전압강하 e= I(RCos세타 + Xsin세타)
에서 x의 부호가 바껴서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전압보다 높아지는것인가요?
p57
전력용콘덴서는 무효전력을 조정하고 ptan세타인데 단위가 var가 아닌 va인 이유가뭡니까?
p58
전선의 충전전류
전선로의 충전용량
전력용콘덴서의 충전용량
정확한 의미
p65
1. 기계적 입력 제어와 주파수 제어의 정확한 관계
조속기로 속도조절=입력 제어로 주파수를 제어한다는건가요?
2. 조상설비에 의한 무효전력 제어로 무효전력을제어하여
전압을 조정 = 발전기의 여자 전류를 제어한다. 맞나요?
먼저, 게시글당 질문은 2~3개 정도로 나눠서 문의해주시면 답변을 보다 빠르게 드릴 수 있습니다.
p.25
1. 선로의 리액턴스는 일반적으로 유도성리액턴스가 더 크며, 전체 리액턴스는 유도리액턴스와 용량리액턴스가 서로 상쇄되므로 XL - Xc로 볼 수 있습니다. 이때 복도체를 사용하면 L이 감소하고, C가 증가하므로 전체 X는 감소하게 되며 송전용량이 증가됩니다.
2. 작용정전용량 공식에서 거리가 짧으면 등가선간거리 D가 감소하며, 등가선간거리 D가 감소하면 정전용량은 증가합니다.
p.45
전파정수는 감쇠정수와 위상정수로 구분되어 구성됩니다.
또한, 위상정수는 전압이나 전류가 진행되면서 위상지연이 발생하는데 이때 위상차를 나타냅니다.
즉, 전파정수는 전압파나 전류파가 진행되며 진폭이 변해가는 특성을 의미합니다.
p.53
네, 그렇습니다.
p.56
1. 전력용콘덴서를 예로 들어 설명드리면, 전압보다 위상이 90˚ 앞선 진상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지상무효전력을 경감시켜 역률을 개선하는데, 이로 인해 위상조절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다만, 역률개선이라고만 기억하셔도 문제되지 않습니다.
2. 페란티현상은 경부하일 때 주로 발생합니다.
경부하라는 것은 부하(주로 L성분)이 작은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C에 의한 영향이 커지게되면 벡터적인 계산으로 인해 수전단전압이 송전단전압보다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p.57
전력용콘덴서의 단위는 Var, VA 모두 사용합니다.
이때 전력용콘덴서에는 유효분이 없고 무효분만 존재합니다.
따라서 Var = VA와 같습니다. 다만, 전력용콘덴서는 설비이므로 주로 VA의 단위를 사용합니다.
p.58
충전전류 = 커패시터를 통해 흐르는 진상전류
충전용량 = 충전전류로 인해 충전되는 피상전력
(전선로에서는 주로 각 상의 대지정전용량 C, 전력용콘덴서에서는 각 상의 콘덴서정전용량에 해당됩니다.)
p.65
네, 말씀하신 것처럼 이해해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