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전기기기 교재말고.. 강의 내용이 이해가 잘안됩니다.
- 작성자
- 환경에서전기로
- 작성일
- 2025-03-30 16:31:51
- No.
- 176596
- 교재명
- 2024년도 전기기기
- 페이지
- 73페이지
- 번호/내용
- 1) 전압변동률
- 강사명
- 최종인
전압변동률에 관한 동영상에서
유도성부하와 지상전류를 같이 이해하고
용량성 부하에 관한 설명을 하실 때 콘덴서에 저장된 에너지가 보충한다고 이해해라,
전압강하 보다 보충해주는 것이 더 크다고 이야기하시면서 그래서 전압변동률이 플러스(+)라고 기억하라고 하시는데
이 부분에서 교재내용은 전압변동률, "용량성부하: 전압변동률(입실론) < 0" 마이너스값인데 이해하는데 너무 혼랍이옵니다..
교재 내용이 맞는것으로 알고 넘어가면 되는부분이긴한데 이해를 돕는 첨언을 따라 이해하려고 하니 혼란이 오네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전압변동률은 무부하전압과 정격전압을 비교한 수치입니다.
기준은 "정격전압"입니다.
정격전압보다 무부하 전압이 크다면 전압변동률은 "+"
정격전압보다 무부하 전압이 작다면 전압변동률은 "-"가 됩니다.
무부하 전압이라고 함은 전류가흐르지 않을 때의 전압입니다.
즉 전압강하가 존재하지 않는 전압입니다.
더 쉽게 말씀드리면 인가한 전압이 무부하 전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애시 당초 전압강하가 없기 때문에
인가한 전압이면서 실제 부하에 걸리는 전압이 됩니다.
즉 무부하 전압을 실제 부하에 걸리는 전압이라고 생각하면,
용량성 부하에서는 무부하 전압이 정격전압보다 작아야 합니다.
수치로 말씀드리면,
100[V]전압이 인가 되었고, 무부하 상태라면 부하에 걸리는 전압은 100[V]가 됩니다.
100[V]전압이 인가 되었는데 정격 상태 부하에 걸리는 전압이 120[V]가 된다면,
실제 전압은 20[V] 증가한 용량성 부하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100[V]는 무부하전압, 120[V]는 정격전압이 됩니다.
관련해서 아래 영상 참고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