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이해안가는부분 2개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 작성자
- 혁이쓰
- 작성일
- 2025-10-28 19:52:15
- No.
- 184953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 기출문제집 2권 (2011년~2024년)
- 페이지
- p111
- 번호/내용
- 문제9번 변류기 + 지락계전기DG
- 강사명
- 이재현
안녕하십니까 해설 보면서 정리중에 모르는 부분이 있어 질문남기게되었습니다!
1. Ia = 전체전류(부하전류) + Ig(지락전류) 라고 말씀하셨는데,
동영상 해설강의 중에 전압원 66kv/루트3 , 저항 300인 폐루프 형성으로 Ig(지락전류)의 값이 형성된다고 말씀 하셨습니다.
그런데 이 전류가 부하로 들어가는 Ia에 포함이 되는 이유를 잘모르겠습니다 ..
2. 지락계전기 DG 의 전류는 = 부하전류인 (Ia + Ib + Ic ) + Ig(지락전류)이고, Ia + Ib + Ic = 0이기때문에 지락계전기에 Ig의 전류값만 남는다고 말씀 해주셨는데,
Ia+Ib+Ic = 0 이 될려면 3상이 평형이되어야 한다고알고있는데, Ia 상 가기전에 Ig가 발생한거면 A가 건전상은 아니지 않나싶은 생각이 있어 글남기게 되었습니다.
너무 당연할 수 있는 부분으로 질문드리게된거같아서 죄송합니다 ㅜㅜ
궁금하신 내용을 질문하신 것에 대해 죄송해하실 필요 전혀 없습니다.
모르시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이 곳에 오신 것이니 편하게 질문해주시면 되겠습니다.
1.
키르히호프 법칙때문에 그렇습니다.
현재 지락 경로상에 접지저항 300Ω이 있습니다.
대지에 직접 지락이 된 것이 아닌 접지저항을 거치므로 이는 또 하나의 전류가 흐르는 경로가 됩니다.
이때 흐르는 지락전류는 유효분입니다.
또한, 부하에 흐르는 전류는 역률이 존재하므로 유효분과 무효분으로 나뉩니다.
따라서 a상의 전류는 부하전류와 지락전류의 벡터합으로 계산됩니다.
2.
지락계전기는 평상시에는 3상전류의 합이 0이므로 고장이 검출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a상에 지락이 발생하여 다른 전류가 흐르게되면, 이 지락전류로 인해 고장을 감지하게 됩니다.
고장이 발생했을 뿐 전원은 3상 평형이었으므로 Ig만 고려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