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능사필기
저항과 컨덕턴스 직렬 접속 합성 계산문제
- 작성자
- 전기윤진
- 작성일
- 2020-12-26 15:53:59
- No.
- 117677
- 교재명
- 전기기능사 필기 2021개정판 문제중..
- 페이지
- 38페이지
- 번호/내용
- 7번, 8번
- 강사명
7번에 문제가 2옴과 3옴의 저항을 직렬로 연결할때 합성저항은 몇 컨덕턴스인가에서
문제풀이에보면 2옴과 3옴을 더한뒤 거기에 대한 역수를 취해서 0.2라는 답을 구해내는데요
각각의 저항의 컨덕턴스를 구하면 2분의 1, 3분의 1이 되고 이것을 더하면 6분의 5가 되어 0.2라는 답이아니라
0.83이 되게 됩니다. 그래서 더한뒤에 역수를 취하는것인줄 알았는데 8번문제를보면
0.2모의 컨덕턴스 2개를 직렬로 접속하여 3A의 전류를 흘리려면 몇 V의 전압을 공급하면 되는가라는 문제에서는
0.2모에서 역수를 취해 5라는 저항값을 직렬로 2개이니까 10옴이되고 여기서 3A가 흐르게끔 하려면 30볼트를 넣는것이
답이더라구요.
2개 이상의 저항이나 컨덕턴스의 직렬 접속에서 저항에서 컨덕턴스로, 컨덕턴스에서 저항으로 변환 할때,
이 저항이나 컨덕턴스를 각각 역수로 취한뒤 더하거나 더한 뒤 역수를 취하는 순서에 대해 정확히 궁금합니다.
즉 2옴과 3옴의 합성 컨덕턴스를 구할때 2분의1, 3분의 1 로 컨덕턴스 변환을 해서 더하는것인지
혹은 2+3 옴을 해서 미리 5를 만들고 이에 대한 역수를 취하는것인지 잘 모르겠어요.. 7번은 방금 말한대로 풀이가 되어있고
8번은 후자의 방법으로 풀이가 되어있어서요
안녕하세요, 회원님.
7번 문제를 예를들어 풀어본다면
해설대로라면 합성저항인 5옴을 구한 다음 이것을 역수로 변환하여 0.2를 구하였습니다.
이것을 만일 각각으로 구한다면
이미 컨덕턴스로 변환하였으므로, 이것은 저항이 2개 있을 때의 계산처럼 아래와 같이 구하여야합니다.
답글대로라면 2옴과 3옴을 각각 컨덕턴스로 변환했을때는 직렬연결이었던 저항2개가 컨덕턴스로 변환함으로서 병렬로 바뀌는건가요? 답변해주신 그림에서는 왜 직렬접속이었던 두 저항이 각각 컨덕턴스로 먼저 변환했을때 회로가 병렬로 바뀌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5옴의 컨덕턴스는 = 5분의1 = 0.2(정답)
2옴과 3옴의 직렬접속에서의 각각의 컨덕턴스 = 2분의1 , 3분의 1
2분의 1인 컨덕턴스와 3분의 1인 컨덕턴스의 직렬 접속일때 합성컨덕턴스 = 2분의1 + 3분의1 = 6분의5 = 0.833.... (오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