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능사필기
궁금한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무개념리버
- 작성일
- 2021-06-24 14:18:29
- No.
- 130317
- 교재명
- 전기기능사필기이론
- 페이지
- 159페이지와 162페이지
- 번호/내용
- 2번과 17번
- 강사명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서 임피던스를 구하는 방법은
Z= 저항의제곱과 용량리액턴스의 제곱의 루트라고 나와있는데요
그래서 앞 159페이지의 2번 문제에서는 저항 9와 용량리액턴스 12의 문제에서 임피던스는 15라고 말하고 있습니다만
왜 17번 문제에서는 저항과 용량리액턴스가 똑같이 접속되어있는 직렬 회로인데 임피던스를 6-j8로 정의하고 계산을 하는건가요..?
다른 값에서 복소수가 나왔을 때(저항 또는 전류 또는 최초 임피던스값부터) 복소수를 넣어서 계산하는법은 이해를 하여 계산할 수 있는데 17번문제에서는 최초 임피던스값이 왜 복소수로 제시되는건지 모르겠네요 10으로 계산해야하지 않나요?
만약 이게 잘못된게 아니라면 왜 맞는지랑.. 허수부 앞에 왜 마이너스가 붙어나오는지도 알고싶습니다 ㅠㅠ 왜 6+j8이아닌 6-j8인지도..
왜 복소수로 제시되는 것이냐면 문제에 주어진 보기 4개가 모두 복소수의 형태로 주어졌기때문에
임피던스를 크기가 아닌 성분으로 접근한 것입니다.
만약 보기에서 복소수형태로 주어지지 않았다면 2번문제와 같이 크기로 접근했을 것입니다.
또한 허수부 앞에 왜 -가 붙냐면, 저항과 커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된 회로 즉 R-C직렬회로에서는 임피던스의 부호가 a - jb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정리해드리면,
R-C직렬회로 a - jb
R-C병렬회로 a + jb
R-L직렬회로 a + jb
R-L병렬회로 a - jb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