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소방기계실기

문제8의 7항과 문제5에서의 이산화탄소 체적(부피) 구하기 차이점에 대하여?

작성자
흰머리독사
작성일
2023-01-08 16:35:47
No.
153067
교재명
2022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실기 기출문제집
페이지
28, 69
번호/내용
문제8의 7항, 문제5
강사명
이창선

상기 문제에서 이산화탄소의 순도는 99.5%로 동일합니다.


그런데 이산화탄소의 체적(부피)을 구함에 있어서 


문제8의 7항에서는 이산화탄소의 순도를 적용하지 아니하고 1260Kg(45Kg/병  X  28병)으로  체적을 구하였으나,


문제5에서는 이산화탄소의 순도를 적용하여 100Kg X 0.995으로 체적을 구하였습니다.


어떤 차이점 때문에 이산화 탄소의 순도를 적용하는 것 인지요???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COMMENTS

흰머리독사
2023-01-09 21:07:33
문제8의 7과 문제5는 순도 99.5%의 이산화탄소 양에 대한 부피를 구하는 문제 아닌가요???

문제8의 1에서는 액화 이산화탄소의 양을 구하기 위하여 순도 99.5%를 나누어서 답을 구하였으며, ---> "이산화탄소+혼합물"의 양

문제8의 7에서는 순도 99.5%에 대한 이산화탄소 부피를 구하기 위하여 문제8의 1에서 구한 값에 99.5%를 곱해야 하는 것이 아닌지요??? --> 순도 99.5%의 이산화탄소
서성욱
2023-01-10 08:48:33
회원님 안녕하세요~

우선 혼동을 드려 죄송합니다.

말씀해주신대로 질량의 경우에는 나누어주고,

부피의 경우에는 곱해주기 때문에 해당 풀이가 됩니다.

다시 한 번 혼동을 드려 죄송합니다.
흰머리독사
2023-01-10 11:52:52
답변 주신데로 문제8의 7에서도 부피를 구하는 문제이므로 순도를 곱해줘야 하는 것이 아닌지요???
문제8의 1에서는 질량을 구하기 때문에 순도로 나누어 주었구요..
문제8의 7에서는 부피를 구하다 보니 순도를 다시 곱해줘야 하는 것이 아닌지요????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러는데요..

혹시 통화가 가능하시다면 전화 통화 부탁드립니다.
서성욱
2023-01-11 09:08:37
회원님 안녕하세요~

우선 전화로의 답변은 어려울 듯 합니다. 죄송합니다.

약제의 저장량 = 순도를 나눈다

부피 = 순도를 곱한다

라고 받아들이시면 편합니다.

질량의 경우에는 나누어 준다. 라는 의미로

8-(1)에서 순도를 나누어주었습니다.

해당 상태에서 약제저장을 완료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1260[kg] 의 값은

28병 × 45[kg] = 1260[kg] 입니다.

약제 저장량을 구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순도를 곱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해가 되셨을지 모르겠습니다. 추가적으로 질문해주시면 더 상세하게 답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흰머리독사
2023-01-11 13:04:20
약제의 저정량과 부피를 각각 계산하는 경우에는 저도 교수님의 의견에 동의를 합니다.

다만, 교수님과 이해가 상충되는 부분은 문제8의 1에서 질량을 구한 후 문제8의 7에서 부피를 구할 경우인데,

저는 문제8의 7에서 방법2)로 계산해야지 순도 99.5%의 이산화탄소의 부피가 계산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입니다.

방법1)로 계산하면 이산화탄소를 100%로 계산한 값이 아니냐는 것이구요???

교수님 : 방법1) 질량으로 계산한다.
질문자 : 방법2) 질량 X 순도로 계산한다.
서성욱
2023-01-13 10:10:32
회원님 안녕하세요~

두 문제에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우선, 5번의 문제는 액화 이산화탄소 100[kg], 그리고 8-(7)에는 저장된 약제라는 말이 있습니다.

(7)에서 뜻하는 저장된 약제라는 것은 병 안에 있는 약제를 의미합니다.

즉, 이 약제는 분출할 때, 이미 순도가 완성되어있는 상태에서 충전이 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다시 순도를 곱해준다는 것은 순도가 원래의 100[%]의 값으로 돌아간다는 의미가 됩니다.

1번 적용한 값을 되돌려서 계산할 수는 없다고 판단됩니다.

참고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