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상전압 선간전압의 구분

작성자
매직
작성일
2023-01-19 15:37:16
No.
153310
교재명
전기기사 기출문제 2022년
페이지
629, 690페이지
번호/내용
77번과 71번
강사명

문제를 풀다보면 다풀수있는 문제인데도 문제를 잘 이해하지 못해 틀리는것 같습니다

629페이지 회로이론 2016년 3회 기출 77번에는 문제가 부하에 걸리는 전압은?

인데 ,

상전압으로 계산하고 (강의에서는 원장님에 부하를 Y에결선했기 때문에 

부하에 걸리는 전압을 상전압이라고 강의했고 )


690페이지에서 71번에는 델타결선에서 부하단자전압은??

이란문제에서는 강의에서보면 그냥 선간전압과 선전류로으로 풀고있습니다

물론 델타에서 선간과 상전압은같지만 선전류는 틀린데요 


1). 만약에 문제에서 부하에걸리는 또는 부하단자에 걸리는 이란 말있을때의

       전압과 전류를 구한다고 하면

      Y결선 과 델타결선시 어떤 전압 전류(상,선간 중에서) 를 구하는것인지 궁급합니다

COMMENTS

담당교수
2023-01-20 10:05:03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먼저 629페이지 77번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을 살펴보면, 상전압(Vp)이 120V이고

Y결선의 전원에 Y결선의 부하를 도선으로 연결하였다고 되어있습니다.


또한, 도선의 임피던스가 1+jΩ이고 부하의 임피던스는 20+j10Ω이라고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아래 그림과 같은 구조라 볼 수 있고,

그에 따라 상전압 120V가 도선과 부하에 각각 나눠 걸리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입니다.




690페이지 71번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을 살펴보면, 

선전류와 상전류 관계가 아닌

문제에서 선로의 저항과 선로손실이 주어졌으므로

3I²R에 의해 선로에 흐르는 선전류 I를 구할 수 있어 그대로 이용하는 것입니다.


또한, 부하가 대칭 3상부하이므로 1상당 부하가 1개씩 총 3개가 △결선으로 접속되어있는 것이고

즉, 부하의 단자전압이라 함은 부하에 걸리는 전압과 동일합니다. 

그리고 선간전압과 상전압이 동일하기때문에 위에서 구한 선전류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단자전압이라고 하면 선간전압, 부하에 걸리는 전압이라고 하면 상전압을 나타냅니다.

다만, 모든 사항이 그런 것이 절대 아니며,


결국 문제에서 "부하에 걸리는, 부하단자에 걸리는" 이라는 문장을 보았을 때는

머릿속으로 회로를 한번 그려보시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이는 기출문제를 많이 풀어보시면 자연스레 학습이 되실 것이니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