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부하측 고장시 질문
- 작성자
- 김동우
- 작성일
- 2023-01-26 14:40:36
- No.
- 153448
- 교재명
- 실기과년도책
- 페이지
- P626 15년 14번 문제
- 번호/내용
- Ups 고장회로 분리방식
- 강사명
해당 강의에서 ups 는 부하측에서 고장 발생하면 부하측고장이 ups로 넘어와서 분리장치가 필요하다라고 설명하셨는데.. 전기를 공급하는건 전원측인데 어떻게 전기를 받는쪽이 전원측에 영향을 준다는건지 이해가 잘 안갑니다. 혹시 교류니까 역방향 즉 부하측 전압이 높아질때 그시기에 부하측 고장 전류가 전원쪽으로 흘러 손상을 일으킨다는 뜻인가요?? 설명좀 부탁드립니다ㅜ
부하측은 전원측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습니다.
하지만 전원측이 공급해주는 전력의 크기 등은 부하측에 의해 결정됩니다.
예를들어, 부하측의 저항이 100[옴] 이고, 전압원의 크기가 100[V] 라고 해보겠습니다.
이 때 정격전류는 I = V/R = 1[A] 가 됩니다.
부하기기의 단락사고 등으로 인해 부하 저항이 1[옴]이 되어버렸다고 하겠습니다.
이 때 전원에서는 보내줘야하는 전류 I = V/R = 100[A]가 됩니다.
즉, 부하의 상태에 따라 전원측이 과전류를 발생시키게 하기 때문에 전원측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단락 외에도 여러 부하의 상태에 따라 전원측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UPS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분리장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