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IT계통 질문
- 작성자
- 전기기사쭈니
- 작성일
- 2023-01-29 16:30:31
- No.
- 153512
- 교재명
- 전기설
- 페이지
- 151
- 번호/내용
- IT계통
- 강사명
IT계통에서 단일고장일때는 고장전류가 작고 2차고장이 발생한경우는 고장전류가 큰 이유가 뭔가요?
그림상으로 파란선을 따라가면 단일고장일때는 노출도전부분외함으로 누전이되서 대지부분을통해 전류가 흐르니까 임피던스는 대지때문에 작으니 고장전류는 큰거 아닌가요? 임피던스가 강의에서는 왜 크다고 설명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전원자체는 대지와접지가 안되어있지만 IMDS 감시장치?가 대지와연결되어잇는 그림이니 대지에서 전류가 얘를 타고 전원측으로 가니까 임피던스는 작은거 아닌가요? (전원측이 접지가 안되어잇으니 임피던스가 크다에 대해서 집중 설명 부탁드립니다.)
2차 고장일때는 노출도전성부분 두개가 이제 연결되서 선의 임피던스만 생각하게되니까 선에서의 임피던스는 작다햇으니 총합 임피던스가 이 작으니 고장전류가(I=V/z )커진다 이 부분은 어떤의미인지 대략 알겟는데 단일고장이 이해가 안되니까 강의를 봐도 IT계통 누전차단기 부분이 이해가 안되네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노출도전부가 2개가 있을 때 "파란부분"이 절연파괴가 된 부분이고
해당 경우에 전류의 흐름을 그렸습니다.
고저항으로 흐르지 않습니다.
전압은 선간전압이 걸리고, 고장전류가 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