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예시로 설명해주신 부분과 교재내용 개념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 작성자
- 정성윤
- 작성일
- 2023-02-09 14:52:59
- No.
- 153779
- 교재명
- 전기(산업)기사 회로이론
- 페이지
- 132
- 번호/내용
- 정저항회로
- 강사명
송건웅 선생님 회로이론 31강 30분즘에 설명해주시는 정저항 회로파트에서 정자항회로는 Z=R 즉,
R,L직렬회로와 R,C직렬회로 두개가 병렬인 전체 회로 그리고 R,L병렬회로와 R,C병렬회로 두개가 직렬인 전체회로에서 정저항회로가 되는 조건은 회로에 존재하는 저항 2개가 서로 같은 값일때 전체 임피던스 Z=R 이면 해당 회로는 정저항 회로가 된다고 이해했습니다.
하지만 이후에 설명해주신 R,L은 직렬이고 C만 병렬인 R,L,C 회로에서 정저항회로가 되기 위한 조건은 허수부가 0일때라고 설명해주십니다.
정저항회로의 의미가 정확하게 실수부가 0일때 인지, 교재에 있는 회로와 같이 특수한 상황에서 회로에 존재하는 저항의 값이 같을때 전체임피던스가 저항값과 같은 갓이 정저항 회로인지 궁금합니다.
정저항 회로라고 하는 것은 순수한 저항으로만 구성된 회로를 의미합니다.
결국 어떤 회로가 나오든 정저항 회로라고 하는 것은 Z=R이 되기 위한 조건을 만들면 됩니다.
이때 교재에 있는 내용이 가장 많이 나오는 내용이므로 따로 유도과정을 거치지 않고 결과만 기억을 하자는 의미로 설명이 된 것이고, 결국 교재의 내용도 허수부가 0인 것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온 결괏값입니다.
때문에 어떠한 회로가 나오든 Z=R을 만드는 조건만 기억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