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퀄리티 다산에듀 자격증 교재를 구매하여 강의 수강신청하세요!
PDF 파일로 교재를 빠르게이메일로 배송!
다산에듀에서 전문기술서적을 만나보세요!
합격에 더 빠르게 다가가는 다산에듀 동영상 강의!
작업형 실기 시험 공구를 쉽고 편하게 한번에 구입하세요!
다산에듀와 소통하며 다같이 공부해요!
언제나 고객을 생각하는 다산에듀 고객센터 입니다.
기술교육의 새로운 경험, 다산에듀
기사/공사필기
65p 13번 유전체 경계에서 유전율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이동하는데 왜 1번 정답이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유전체 경계가 수직일 경우에는 전속밀도는 일정합니다.
하지만 해당 문제의 경우 수직인 경우가 아닙니다.
즉, 이 경우에는 전속밀도가 일정하다라고 볼 수 없으며
유전율이 큰 쪽에 전하가 많이 모이기 때문에, 전속밀도가 증가합니다.
D=입실론*E에서 D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입실론이 증가함에 따라 D가 증가한다라고 이해해주세요.
설명이 다소 어려우시다면
유전체에서 전속밀도는 유전율이 큰 쪽에서 모이려는 성질이 있고,
전계의 세기는 유전율이 작은 쪽에서 모이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때 유전율이 큰 쪽에서 전속밀도가 크므로 전속이 많고,
유전율이 작은 쪽에서 전계의 세기가 크므로 전기력선이 많습니다.
1번보기에서는 전속은 유전율이 작은 유전체로 모인다라고 되어있기때문에 틀린 선지가 됩니다.
라고 이해해주셔도 됩니다:)
2.
52번 문제의 회로도는 SCR(사이리스터)을 사용한 단상전파정류회로입니다.
이론교재의 그림과는 다를 수 있지만, SCR이 4개 사용되었다는 측면에서
전파정류회로임을 알 수 있으며, 전원은 2선으로 되어있기때문에 단상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재 205페이지의 공식을 사용해주시면 되는 것입니다.
3.
문제에서 "정상편차"가 얼마인지 물어봤기때문에 정상상태오차에서의 정상편차상수를 구해줘야합니다.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유전체 경계가 수직일 경우에는 전속밀도는 일정합니다.
하지만 해당 문제의 경우 수직인 경우가 아닙니다.
즉, 이 경우에는 전속밀도가 일정하다라고 볼 수 없으며
유전율이 큰 쪽에 전하가 많이 모이기 때문에, 전속밀도가 증가합니다.
D=입실론*E에서 D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입실론이 증가함에 따라 D가 증가한다라고 이해해주세요.
설명이 다소 어려우시다면
유전체에서 전속밀도는 유전율이 큰 쪽에서 모이려는 성질이 있고,
전계의 세기는 유전율이 작은 쪽에서 모이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때 유전율이 큰 쪽에서 전속밀도가 크므로 전속이 많고,
유전율이 작은 쪽에서 전계의 세기가 크므로 전기력선이 많습니다.
1번보기에서는 전속은 유전율이 작은 유전체로 모인다라고 되어있기때문에 틀린 선지가 됩니다.
라고 이해해주셔도 됩니다:)
2.
52번 문제의 회로도는 SCR(사이리스터)을 사용한 단상전파정류회로입니다.
이론교재의 그림과는 다를 수 있지만, SCR이 4개 사용되었다는 측면에서
전파정류회로임을 알 수 있으며, 전원은 2선으로 되어있기때문에 단상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재 205페이지의 공식을 사용해주시면 되는 것입니다.
3.
문제에서 "정상편차"가 얼마인지 물어봤기때문에 정상상태오차에서의 정상편차상수를 구해줘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