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분극의 세기, 자화의 세기 공식에서 각각이 나타내는 의미를 알고싶습니다.
- 작성자
- 정성윤
- 작성일
- 2023-02-20 12:08:48
- No.
- 154031
- 교재명
- 전기(산업)기사 전자기학
- 페이지
- 67, 133
- 번호/내용
- 분극의 세기, 자화의 세기
- 강사명
분극의 세기 경우 내부전계 E= 외부전계 E0 - 분극에 의한 전계 Ep 를 통해 D - P = ε0×E 라는 공식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D와 P와 ε0×E 가 각각 무엇을 의미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이는 D가 외부 전속밀도, P가 분극에 의한 전속밀도, ε0×E가 내부 전속밀도라고 생각합니다)
자화의 세기의 경우 전계에서와 마찬가지로 J=B-mu0×H 인데, 여기서도 J, B, mu0×H 각각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 궁금합니다.
먼저, 유전체에는 자유전하와 속박전하가 있으며,
ε0는 물질의 비유전율, E는 인가해준 외부전계의 세기이고, ε0 × E = D0는 전체전하에 의한 전속밀도가 됩니다.
또한, D는 유전체 내부의 자유전하에 의한 전속밀도이고,
유전체 내의 속박전하에 의한 전속밀도, 분극의 세기를 P라고 합니다.
자화의 세기도 분극의 세기와 비슷한 의미로 판단해주시면 되며,
분극의 세기와 자화의 세기는 그 용어가 어렵고 유도과정이 복잡하여
전공도서를 참고하셔서 학습하시는 것을 권장해드립니다.
아래 분극의세기에 관한 유도영상을 함께 첨부해드리니,
학습에 참고하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 것입니다.
https://youtu.be/m0G5rFogXU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