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증설부하용량
- 작성자
- 10-6
- 작성일
- 2023-03-17 21:45:54
- No.
- 154926
- 교재명
- 2022 전기기사 기사실기 기출문제집
- 페이지
- 273
- 번호/내용
- 12
- 강사명
- 이재현
총 두개의 질문이있습니다.
1번 질문.
12번의 (4)번 답안을 보면 "전력손실까지 고려한 총 합성용량=349.42kva"을 "변압기용량=500kva"에서 빼고 남은 용량이 부하증설 용량(150.58kva)으로 사용된다고 이해했어요.
그런데 여기서 궁금한 점은 (4)번 문항을 다시 읽어보면 "증설부하의 역률은 기존부하의 합성역률과 같은 것으로 한다'라 할때 처음엔, 기존부하의 합성역률은 개선된 역률인 90프로를 의미했다고 생각했는데 그러면 말이 안되어서 질문드려요.
그니까 (4)번에서 말한 "기존부하의 합성역률"이란 개선된 역률 90프로가 아니고 "전력손실까지 고려한 총 합성역률인 90.94%를 의미하는 게 맞죠?
그렇지 않고 역률이 90프로인 부하를 증설한게 맞다면 저렇게 단순히 뺀값으로 도출 할수 없지않나요? 왜냐면 349.43kVA 는 역률이 90.95프로니까 증설부하의 역률이 90프로면 합성피상전력을 구하면 500보다 작은 499.98kVA이 되니까 변압기용량의 한도까지 쓴다는 조건에 위배되니까요..
즉 기존부하의 역률이라하면 전력손실 17.78kw 까지 고려한 역률 90.94%를 의미한거맞죠..?
2번 질문.
찾아보니 이문제가 증설부하의 역률이 60프로다 90프로다 그것도아니다 등등 복잡하던데, 그냥 (4)번문제가 또 출제될 경우 단순히 답안처럼 (변압기용량)에서 (전력손실합한 부하용량)을 스칼라끼리 빼서 구한다고 생각해도 되겠죠?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네, 교재의 해설은 말씀하시는 것과 같이 해석하여 풀이되었습니다.
*참고영상
2. 다음 시험에서는 그러한 부분에 대하여 고려하여 논란 없이 출제될 것으로 사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