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질문있습니다.
- 작성자
- 전실
- 작성일
- 2023-03-23 15:54:53
- No.
- 155251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 20개년
- 페이지
- 366쪽 , 368쪽
- 번호/내용
- 10년도 1회 2번 , 4번
- 강사명
- 이재현
1) 10년도 1회 2번 문제에서
꼬리문제 2번 접점 기호의 동작으로
타이머 T2가 여자될 경우 설정 시간 후에 동작하고 타이머 T2가 소자될 경우 순시 복귀한다.
이렇게 적으면 틀린 것인가요?
추가로 꼬리문제 3번 접점 기호의 명칭과 동작으로
③ : 열동계전기 - 전동기에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하여 전동기를 보호한다.
④ : 수동복귀 b접점 - 전동기에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하여 전동기를 보호하고, 복귀는 수동적으로 한다.
이렇게 적어도 될까요?
헷갈리는 부분이 동작을 쓰라고 했을 때 단순히 물어본 그 접점의 동작에 대해 서술해야 하는 것인지,
해설처럼 R2와 T2를 소자시킨다. 이렇게 다른 부분에 영향을 주는것까지 서술해야하는 것인지 질문드립니다.
2) 10년도 1회 4번 문제에서
약간 생뚱맞는 질문일 수도 있는데..
콘덴서를 병렬로 설치하기 전 유효전력 : 800 kW , 무효전력 : 600 kVar , 피상전력 : 1000 kVA 였고,
콘덴서를 병렬로 설치한 후에 유효전력 : 800 kW , 무효전력 : 300 kVar , 피상전력 : 854.4 kVA 입니다.
문제와는 상관없는 질문일 수도 있는데 유효전력에서 의미를 갖는 것이고, 피상전력이 줄어들었다는 것이
콘덴서를 설치하기 전보다 상황이 당연히 더 좋아진 것이라고 볼 수 있는건가요?
단순비교로 피상전력이 높다고해서 좋은 상태인 것이 아니라 유효전력이 핵심인 것이죠?
순간 전력손실은 당연히 줄어들었으나, 피상전력 역시 줄어들어서 이게 상황이 좋아진 것인지 문득 생각이 들어서 같이 질문드립니다.
3) 87T를 주변압기 비율 차동 계전기라고 적으면 틀린 것인가요?
주변압기 차동 계전기로 써야하는건가요?
1. 실기시험의 경우 채점결과가 공개되지 않기때문에 명확한 정답여부를 판단해드릴 수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작성하신 답안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2. 역률이 높을수록 좋습니다.
유효전력이 실제로 의미가 있는 것이고, 무효전력은 의미가 없으므로 무효전력을 작게하여 피상전력을 작게하면 역률이 증가하게 되고, 부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더 좋은 상황이 됩니다.
3. T가 주변압기를 의미합니다. 작성 권장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