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비접지방식.직접접지방식
- 작성자
- 토러스
- 작성일
- 2023-03-24 08:32:31
- No.
- 155296
- 교재명
- 전력공학
- 페이지
- 94
- 번호/내용
- 비접지방식.직접접지방식
- 강사명
- 최종인
비접지방식 델타결선에서 한상에 지락사고가 발생 하면 일반적으로 생각을 해 보면 대지가 0V 이므로 지락전류가 C 를 타고 다시 선로에 투입 되는 것이 이해가 안 되서요 대지가 0 볼트이니까 그냥 대지로 소멸 되지 않나요? 직접접지 방식에서도 아무리 접지선의 저항이 ㅐ 볼트라고 해도 0 볼트인 대지에서 어떻게 다시 선로로 올라가는 지가 좀 이해가 안되서 질문 드려요 ㅎㅎㅎ
사실 비접지계통에서는 지락전류에 의한 폐회로가 가시적으로 보이진 않습니다.
물론 대지정전용량에 의해서 전류가 흐르기때문에 하나의 선으로 보시면 됩니다.
이때 저압계통에서의 대지정전용량은 매우 작아서 지락전류 Ig도 매우 작습니다.
따라서 검출하기가 어려워 고압계통에서만 의미가 있습니다.
전류는 교류이기때문에 방향을 딱 정할 수는 없지만,
지락됨으로써 정전용량을 통해 폐회로가 구성이 된다고만 이해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직접접지방식에서 전류는 반드시 폐회로가 구성되어야 흐르기때문에
지락전류가 대지로 들어가서 흩어지지않고 중성점접지를 통해
지락된 상쪽으로 폐회로가 구성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