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질문있습니다.
- 작성자
- 전실
- 작성일
- 2023-03-24 11:01:39
- No.
- 155310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 20개년
- 페이지
- 447쪽,458쪽
- 번호/내용
- 12년도 1회 1번,17번
- 강사명
- 이재현
1) 12년도 1회 1번에서
확실히 하고자 질문드립니다. 전압비가 주어졌거나, 또는 단자전압이 6000V 이하일 때
단상임을 확실히 할 수 있는건가요?
단자전압이 6000V 였는지 , 60KV였는지 헷갈립니다.
2) 12년도 1회 1번에서
고'저압 혼촉시의 대지전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저항값 R을 구하는 식이 150/Ig 등등 있는 것은 알겠으나,
이 문제에는 저압측 접지저항이 Ra Rb로 두 가지인데 위 공식을 쓸 수 있는 이유가 어떤 것인지 이해가 안돼서 질문드립니다.
150/Ig 등등의 공식으로 구한 저항이 정확히 어떠한 저항을 의미하는 지 궁금합니다.
"고전압 혼촉 또는 고압측 지락사고 시 ~ 저압측에 시설될 접지공사의 저항값 " 이런 키워드가 나오면
일단 150/Ig~ 등등의 공식을 넣어서 넘기긴 했으나
이번 문제 같은 경우 저항이 두가지로 나와 혼란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위와 같은 공식으로 구한 저항의 명칭은 "접지 저항" 인 것이면,
Rb는 접지 저항이 아닌건가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아래 영상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변압기 접지저항값을 구하기 위한 공식입니다.
Rb의 경우 외함접지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