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공사실기
퓨즈 정격 질문
- 작성자
- 쟈리가리만
- 작성일
- 2023-03-29 13:49:02
- No.
- 155643
- 교재명
- 전기공사기사 기출문제집
- 페이지
- 44
- 번호/내용
- 2년 1회 10번
- 강사명
- 최종인
(위 링크의 답변이 '변압기용 퓨즈링크'라는 단어)
44page 소문제 (5)번과 위 링크 때문에 궁금한 것이 생겼습니다.
1.
https://www.e-dasan.net/board_view.php?mode=search&id=explain&category=&colsname=a.REGUSER&searchtxt=syd05086&idx=155559
위 링크의 답변 1번에서 퓨즈는 퓨즈링크와 다르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문제에선 퓨즈링크의 정격전류를 묻고 있고 해설에는 PF(퓨즈)의 정격전류값을 설명했는데..
'COS 퓨즈링크', '방출형 퓨즈' , '변압기용 퓨즈링크' , 'COS' 다 같은말인건지..
도대체 어떻게 받아들여야 될지 모르겟습니다..
2.
'저압전력퓨즈', '방출형 퓨즈'의 정격전류는 '부록1'에 나와있는데
'대표적인 특고압용 COS' 정격전류(1, 3, 5, 6, 8, 10 ,12, 15, 20, 25, 30, 40, 50, 80, 100)는
교재 내에서 찾아볼 수가 없네요.
만약 없다면 기출문제에서 특고압용 COS 정격전류 관련 출제가 된적이 없어서 그런건가요?
만약 출제된적이 있었다면 '대표적인 특고압용 COS' 정격전류 값이 몇PAGE에 수록되어있는지 알려주세요.
3.
궁극적으로 문제에서
어떨 때 정격전류 1, 3, 5, 6, 8, 10 ,12, 15, 20, 25, 30, 40, 50, 80, 100 를 사용해야되고
어떨 때 정격전류 1 2 3 6 8 10 12 15 20 25 30 40 50 65 80 100 140 200 를 사용해야 될지 모르겠습니다.
이거 두개 때문에 골머리 앓고잇습니다.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Q1.
■ 퓨즈
충분한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지정된 전류값이 초과된 회로를,
하나 또는 그이상의 특별히 설계되고 조정된 부품들의 용단 과정을 통해 개방시키는 장치,
전체 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 조합을 총칭함
■ 퓨즈링크
퓨즈 동작 후 교체해야하는 부분, 퓨즈 가용도체를 포함함
전력퓨즈는 크게 한류형과 비한류형으로 구분됩니다.
(1) 한류형
한류형 퓨즈는 높은 아크저항을 발생하여 사고전류를 한류억제하여 차단하는 퓨즈로서 차단시 가스를 분출하지 않으며 소음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퓨즈용단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퓨즈유니트(퓨즈통) 밑 부분에 동작표시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2) 비한류형
비한류형 퓨즈는 동작시 소호가스를 뿜어내어 극간의 절연내력을 재기전압 이상으로 높여서 차단하는 퓨즈로서 소호가스를 뿜어내므로 방출형이라고도 합니다.
동작시 소호가스가 분출되면서 큰 소음(폭발음)이 발생하며 내부 스프링 또는 중력에 의해 퓨즈유니트가 하방으로 꺽여져 동작여부가 쉽게 확인됩니다.
Q2.
수험서인 만큼 빈출 내용에 위주로 수록하고 있어 교재에 모든 내용을 수록할 수는 없습니다.
지금까지 시험에 출제되었던건 부록 또는 문제를 통해 학습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다산에듀에서 제공하는 모든 콘텐츠는 시험 범위 내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입니다.
타 수험자분들의 원할한 질의활동을 위해서 양해부탁드립니다.
시험 범위 외 자세한 실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관련 서적 또는 인터넷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Q3.
교재 부록에 주어진 정격들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더라도 정격으로 작성하라는 조건이 있다면 암기해서 작성되어야 하는 정격들을 정리한 것입니다.
즉, 이외의 기기 정격들은 문제에서 조건으로 주어지게 됩니다.
말씀하신 정격 두가지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특고압인지 고압인지에 주어지거나 이를 구분할 수 있는 다른 조건들이 주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