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질문있습니다.
- 작성자
- 전실
- 작성일
- 2023-04-04 00:18:24
- No.
- 156011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 20개년
- 페이지
- 361쪽
- 번호/내용
- 09년도 3회 14번 , 17년도 3회 13번
- 강사명
- 이재현
1) 비접지 3상 3선식 배전방식과 비교하여, 3상 4선식 다중접지 배전방식의 장점 및 단점을 각각 4가지씩 쓰시오. 에서
일단 문제에선 4가지씩 쓰라고 했으나, 5가지씩으로 한가지씩 늘려서 적어봤습니다.
장점
- 1선 지락 시 건정상의 대지전위 상승이 낮다
- 단절연이 가능하다. ( 또는 절연이 용이하다. )
- 보호계전기 동작이 빠르다.
- 정격이 낮은 피뢰기 사용 가능하다.
- 중성점 접지가 가능하다.
단점
- 1상 고장 시 전원 공급이 불가능하다.
- 통신선 유도장해가 크다.
- 지락전류가 크다
- ( 따라서 ) 과도 안정도가 낮다.
- 차단기의 빈번한 동작으로 차단기 수명이 단축된다.
이렇게 적어도 될까요?
2) 전력퓨즈의 가장 큰 목적은 단락전류 및 고장전류 차단이고,
차단기(CB)의 목적은 사고전류와 부하전류 차단입니다.
여기서 궁금한 것이 사고전류와 고장전류는 같은 뜻인건가요?
3) 17년도 3회 13번에서
앞서 말씀드렸듯이, 차단기(CB)의 목적은 사고전류와 부하전류 차단인데,
여기서 OCB의 역할에 대한 해설로 사고전류 차단 및 부하전류를 개폐하기 위한 장치라고 적혀있습니다.
부하전류 차단한다. 라는 말과 부하전류를 개폐한다라는 말은 같은 뜻인건가요?
4) 추가로 매번 문제풀 때마다 각 심볼 또는 동그라미 숫자로 점선 사각형으로 표시해두고
들어갈 명칭 또는 심볼을 그리시오. 라는 문제가 몇번 있는데, 영상변류기는 많이 안나오다보니 가끔
이부분에 영상변류기를 넣었어야했구나 하고 넘어가게되더라구요..
보통 결선도에서 영상변류기(ZCT)는 지락계전기(GR)과 계기용변압기(PT)하고 같이 묶여있나요?
매번 답변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1. 네, 그렇습니다.
2. 네, 그렇습니다.
3. 유사한 의미지만 맥락 상으로 개폐는 원할 때 ON,OFF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차단은 '고장 발생' 시 자동(또는 수동으로) 회로를 분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4. 보통 GR과 함께 연결되어 출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