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질문있습니다.
- 작성자
- 전실
- 작성일
- 2023-04-06 11:09:44
- No.
- 156162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 20개년
- 페이지
- 658쪽
- 번호/내용
- 16년도 2회 9번
- 강사명
- 이재현
1) LS ( 선로 개폐기 )는 66kv이상에서 DS 단로기 대신 사용되는 개폐기입니다.
따라서 현재 주어진 결선도는 22.9kV의 수전설비로부터 공급받고 있는 결선도 이므로
66kV보다 낮아서 LS를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이 결선도에서 LBS 대신 DS가 올 수 있었으나, (인입구 측)개폐기 부분이 바로 아래 PF 전력퓨즈와 직렬연결 돼 있으므로
DS 대신 LBS를 사용하였습니다.
이렇게 이해하면 제대로 이해한 것인가요?
2) LBS 대신 DS 써도 상관 없는 것인가요?
3) 만약 DS가 불가능하고 LBS가 와야하는 위치라면, 전력퓨즈와 직렬 연결 돼 있음에 그런 것이고,
MOF 1차측에 PF 대신 차단기가 먼저 오고, PF를 2차측으로 빼줬으면 DS를 사용해주는 것이죠?
4) 인입구측이 만약 66[kV] 였다면, DS 대신 LS를 사용해야하는 것은 당연한 것인데,
PF와 직렬연결 된 위치이므로 LBS를 써줘야 하는 것인가요?
(66[kV] 이상일 때 LBS가 사용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
5) LS의 조건과 달리 LBS는 인입구 측의 전압값에 상관없이
PF와 직렬연결 된 인입구 개폐기 자리라면 언제든지 들어갈 수 있는 것인가요?
6) 그런데 사실 DS , LS , LBS를 모두 떠나서
그냥 ASS , AISS 사용해줘도 되는 것 아닌가요? ( 가격적인 측면에서 비싸서 그런 것인가요 ? )
인입구 개폐기에 ASS , AISS가 그냥 제일 최고인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 혹은, 인터럽트 스위치를 사용해줘도 되는 것인가요? 또한 이 경우에도 300kV 이하여야한다는 조건이 붙나요? )
7) 1) 질문에서 추가로 간이 수전설비 결선도에선 인터럽트 스위치를 300kV이하에서 사용가능하다는 조건이 붙긴 하지만,
ASS , AISS를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LS가 66kV 이상에서 DS 대신 사용하는 것인데,
66kV 이하에서도 LS를 사용해도 되는 것이죠?
매번 답변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2, 3, 4, 5, 7) 22.9kV 이하에서 LS는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경제적이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LBS는 DS,LS의 기능에 부하전류 개폐기능까지 추가 된 기기입니다.
실제 현장에서는 DS는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LBS를 실제로 사용합니다.
해당 도면에서 다른 기기의 교체 없이 LBS대신 DS와 LS를 사용가능합니다.
언급하신 퓨즈와 차단기... 등등 관련 없습니다. 아래 영상 참고해주세요.
다만 소문제 (1)-③의 경우 LBS와 같이 부하전류 개폐기능을 포함한
다른 대체 기기를 묻는 것이기 때문에 DS와 LS로 답하기는 어렵습니다.
6) 이론과 실무에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이론에서는 DS와 LS를 사용하며 도면을 익히지만,
요즘에는 DS와 LS를 사용하지 않으며 대부분 LBS또는 ASS 둘 중 하나를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