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질문있습니다.

작성자
전실
작성일
2023-04-06 18:26:35
No.
156184
교재명
전기기사 실기 20개년
페이지
713쪽
번호/내용
17년도 3회 1번 , 13년도 1회 10번
강사명
이재현

1) 17년도 3회 1번에서

전압강하를 구하고자 

e = 루트3 * I^2 * ( Rcos세타 + Xsin세타 ) 식으로 구하려고  I를 구해보니,

무언가 전개과정에 있어, 뭔가 구하는 과정 속도가 순조롭지 못하고 렉걸린 듯이 느려졌었습니다. 결국 e = ( P / V ) * ( R + tan세타 ) 식으로 풀었는데요..

( 뭔가 I에 대한 식으로 구하기에 자신이 없고 확실하지 않다고 느꼈던 것 같습니다.  )

만약 I에 대한 식으로 구하려면 

I = 1000*10^3 / 루트3 * 6000 * 0.8 = 120.28[A]로 구할 수 있는데

부하의 역률이 지상역률로 0.8이 주어진 것을 이용해서

전류값 120.28에 0.8과 0.6을 곱해서 

96.22 - j72.17 [A] 복소수 형태로 나타내고,

후에 다시 I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 보면,

e = 루트 3 * ( 0.6 * 96.22 + 0.8 * 72.17 ) = 200[V] 가 나오는데 

이렇게 구해도 되는 것인가요?


2) 혹시 소비전력,전력손실처럼 

전압 강하 구하는 식에 있어서의 I도 R에 걸리는 I인 것인가요? ( 식에 리액턴스 X도 있는 것으로 보아 아닌 것 같으나, 확실히 하고자 질문드립니다 )


3) 그런데 전류값 120.28을 전력손실 값을 구하고자 3*I^*R에 대입 시,

3 * 120.28^2 * 0.6 * 10^-3 = 26.04[kW] 

결과값이 똑같이 나오더라구요. 

제가 구한 I가 R에 걸리는 I 인 것인가요?


4) 사실 이 문제와 13년 1회 10번문제 때문에 질문드리게 됐습니다.

13년도 1회 10번에서는 전력손실을 V에 대한 식으로 구할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두 문제의 차이점은

17년도 3회 1번에서는 문제에서 수전전압이 6000[V]라고 그냥 주어졌고,

13년도 1회 10번에서는 문제에서 단순하게 수전전압이 몇[V]라고 주어진 것이 아니라, 선간전압으로 주어졌거든요.

두 문제가 "선로의" 전력손실을 구하라는 부분에 있어서 똑같은데요,

문제에서 "수전전압"으로 주어지면 R에 걸리는 저항이라고 볼 수 있고,

13년도 1회 10번처럼 델타결선도 아니면서 선간 전압으로 주어지면, R에 걸리는 저항이라고 볼 수 없어서 

전력손실을 전압에 관한 식으로 풀 수 없는 것인가요?


5) 만약, 13년도 1회 10번이 델타결선으로 주어졌더라면 전력손실을 전압에 관한 식으로 풀 수 있었던 것인가요?


COMMENTS

담당교수
2023-04-07 10:35:39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네, 작성하신 식처럼 구하셔도 됩니다.


2)

쉽게 전체전류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유도성부하라고 가정할 때,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90˚ 느리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이때 전압강하를 벡터도로 표현해보면 저항에 의한 전압강하 IR은 전류와 동상이며,

이보다 위상이 90˚ 빠른 리액턴스전압강하 IX가 있습니다. (전류가 더 늦으므로 리액턴스전압강하가 90˚앞서다고 표현한 것입니다.)


3)

전력손실 공식은 어떤 것을 사용하시든지 결괏값은 동일하게 나옵니다.

I를 저항에 흐르는 전류, 리액턴스에 흐르는 전류 둘 다 생각할 수 있습니다.


4), 5)

결선과 관계없이 전압에 대한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Pℓ = (P²×R) / (V²×cos²θ) = { ((832×10^(3))² × 2) / (6000² × 0.8²) } × 10^(-3) = 60.088888 ≒ 60.09kW 입니다.


※ 원활한 답변을 위해 질문게시글 당 질문수는 2~3개로 작성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전실
2023-04-07 11:07:26
질문 다시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