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질문입니다

작성자
김진원
작성일
2023-04-10 12:06:07
No.
156424
교재명
페이지
번호/내용
강사명
. C쪽을 전원으로 두고 푸나요?  

. 1부하 <정격 계도 안 유효한가요?




COMMENTS

운영교수
2023-04-11 08:45:33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C가 백열전등이며, C를 전원으로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전원의 (+)극이 3로스위치 2개를 거쳐 전등에 연결되고, 전등의 한쪽이 전원의 (-)극으로 연결됩니다.


2. 소문제 (3)번에서 표도 유효하지 않으며, 해당 표로 선정하는 방법 또한 유효하지 않습니다.


3. 후비보호라고 하는 것은 주보호가 되지 않을 경우(주보호가 차단 실패하였을 경우)

    이것을 백업함과 동시에 사고 파급의 확대를 방지하는 개념입니다.


    부하측 사고 시 부하와 가장 가까운 기기가 가장 먼저 동작을 하며,

    동작 실패시 그 다음에 존재하는 보호기기가 동작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전력은 상단에서 오고 있습니다.

    고장점으로 들어오는 전력의 통로를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F4점을 보시게 되면 CB4쪽에서 받을 수도 있고, CB7 쪽에서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어떤 지점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그 지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첫번째 윗선이 주보호가 되고,

    주 보호보다 더 윗선의 차단기가 후비보호가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당문제에서 각 사고지점의 주보호와 후비보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 F1 주보호 : 상단, 후비보호 : 상단

    * F2 주보호 : 양단, 후비보호 : 상단

    * F3 주보호 : 양단, 후비보호 : 양단

    * F4 주보호 : 상단, 후비보호 : 양단


4. 결선이 되어있지 않더라도 비율차동계전기의 결선을 우리가 알고 있어야 합니다.

19년 1회 13번 문제를 참고하시면 결선법을 아실 수 있습니다.


5. 문제에서 F1 주보호 예시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차단기와 계전기가 함께 동작하므로, +는 함께 동작하는 것, 주보호로 CB1과 CB2가 둘 다 사용 가능하므로 and는 가지수를 나열함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