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질문있습니다.
- 작성자
- 전실
- 작성일
- 2023-04-16 23:25:12
- No.
- 156932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 20개년
- 페이지
- 280쪽
- 번호/내용
- 07년도 3회 4번
- 강사명
- 이재현
1) 문제와 상관없지만, 개념적으로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이 문제에서 각 부하의 표준 용량값들이 500 , 300 , 500 [kVA]로
이들을 모두 합하면
주변압기의 표준용량인 1000[kVA] 보다 용량값이 커지게 되는데
부하의 용량값들을 합친 것을 주변압기의 표준용량 값으로 나누었을 때를 부하율이라고 부르며
( 500 + 300 + 500 ) / 1000 라고 했을 때 , 현재 130%를 견디고 있다 라고 볼 수 있는 것인가요?
2) 주변압기의 용량은 부하들의 합성 최대수요전력 보다는 커야하나,
이렇게 각각의 최대수요전력 ( 500 , 300 , 500 ) 보다 반드시 클 필요는 없는 것이죠? ( 130% 부하율 이런 것 처럼요 )
3) 각각의 부하들의 용량 ( 500 , 300 , 500 ) 을 각각의 부하들의 최대수요전력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변압기 표준용량값은 일반적으로 전부하 상태를 의미합니다.
부하율이라고 하는 것은 어느 일정기간 중의 부하의 변동 정도를 알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시간대별로 부하의 사용량을 보시고 도출해주셔야 합니다.
2)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정격값들은 부하를 전체를 다 썼을 때, 즉 최대한도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3) 최대수요전력은 계산된 값(472, 265, 344)kVA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