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질문있습니다.
- 작성자
- 전실
- 작성일
- 2023-04-18 12:42:37
- No.
- 157029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 20개년
- 페이지
- 1쪽 , 9쪽
- 번호/내용
- 22년 1회 1번 , 15번
- 강사명
- 이재현
1) 22년 1회 1번 명칭을 배타적 논리곱으로 적었는데 이것도 옳은 것인가요?
2) 22년 1회 15번과 12년 3회 13번 문제 관련해서 질문입니다.
12년 3회 13번의 꼬리문제 3번의 경우는
ELB1 . ELB2의 각각 동작전류 , 부동작전류를 구하여 범위를 산출해서 답을 적는 것이었는데
22년 1회 15번의 꼬리문제 3번에서는 그냥 부하1에서 지락사고 발생 시 나온 값들로 범위를 정해주었습니다.
두 문제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12년 3회 13번의 꼬리문제 3번처럼 ELB1, ELB2 각각의 범위를 구하라 했을 경우에는 12년 3회 13번처럼
부하1에서 지락사고 발생했을 경우와 부하2에서 지락사고 발생했을 경우의 각각의 Ig1 Ig2를 모두 구해야하는데,
22년 1회 15번의 꼬리문제 3번의 경우 각각 구하라는 말이 없긴 한데
어디서 지락이 발생됐는지, ( ELB1의 출력단에 지락발생 예정 <ㅡ 이 문구도 12년도에도 있습니다 )
ELB1의 범위를 구하라고 했거나,
ELB2의 범위를 구하라고 딱 명확히 제시해준 것이 아닌
그냥 전류의 범위를 구하라고 주어졌는데 이걸 어떻게 부하1 , 부하2 중 어떤 범위를 적어야할 지 알 수 있는 것인가요?
아무런 언급이 없으면 첫번째 ELB1의 범위를 구하면 되는 것인가요?
3) 13번 문제에서 저는 방정식을 세워서 풀었는데 이렇게 풀어도 되는건가요?
- 첨부파일 : 방정식.jpg (86.18KB)
1. 아니요, 오답입니다.
2. 12년도 문항의 경우는 ELB1, ELB2 두 누전차단기에 대한 정격감도 전류를 물어봤기 때문에 두경우를 모두 고려한 것입니다.
22년도 문항의 경우는 부하1측이 지락이 났을 경우에 한정해서 물어보고 있는데에 차이가 있습니다.
3. 어떻게 풀이하신건지 파악하지 못하였습니다.
원래 60%이던 것을 90%부하와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한 후 90%까지 개선하는 것인데,
문제에서 묻는 것은 증설가능한 유효전력의 최댓값 입니다.
따라서, 증설가능한 유효전력을 먼저 픽스한 후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90%까지 개선하여야 합니다.
최종값이 500kVA, 역률 90% 이므로 최종유효전력은 450kW가 됩니다.
기존 유효전력이 300kW 이므로, 증설가능한 최대 유효전력은 450-300=150kW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