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대지 귀로 인덕턴스
- 작성자
- 김윤범
- 작성일
- 2023-05-24 17:20:36
- No.
- 158046
- 교재명
- 전력공학
- 페이지
- 24~27
- 번호/내용
- 대지 귀로 인덕턴스
- 강사명
용어 정리가 혼동되고 2선에서의 인덕턴스가 이해가 안됩니다.
1선일 경우, 가공전선로를 왕로로 하고 대지를 귀로로 할 때
선로의 작용 인덕턴스는 0.05 + 0.4605log {(H+h)/H} 이고 대지에서의 귀로 전선의 인덕턴스는 0.05 + 0.4605log {(H+h)/H} 이다. 이때 H 가 h 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H+h≈H 로 본다. 즉 귀로 전선의 인덕턴스의 근사값은 0.05
따라서 총 인덕턴스는 0.1 + 0.4605·log (2He/r)
여기까지 이해는 잘 되는데 용어를 이야기할 때
대지 귀로 인덕턴스가 귀로 전선에서의 인덕턴스를 말하는 것인지 아니면 총 인덕턴스인지 혼동됩니다.
그리고 2선에서는 대지 귀로 상호 인덕턴스가 발생한다고 했는데
분명히 1선 당 작용 인덕턴스는 0.05 + 0.4605·log (D/r) 인데 두 가공전선로에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같으면 그때의 작용 인덕턴스는 0.15 + 0.4605·log {(2He)²/rD} 라고 설명하셨습니다.
아마 이 부분이 자기 인덕턴스와 상호 인덕턴스의 합이라고 이야기했던 걸로 기억하는데 앞서 말한 용어 혼동 때문에 더 이해가 안됩니다.
각 용어에 대한 충분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1선을 왕로로 하고 대지를 귀로로하는 선로에서의 총 인덕턴스를 살펴보면,
왕로의 인덕턴스가 0.05 + 0.4605log(2He/r), 귀로의 인덕턴스는 0.05가 되어
총 인덕턴스는 0.1 + 0.4605log(2He/r)가 됩니다.
결국 대지 귀로의 인덕턴스는 총 인덕턴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2선을 병렬로 일괄하고 대지를 공통 귀로로 사용하게 된다면
전류의 방향이 같으므로 총 인덕턴스는 0.15 + 0.4605·log {(2He)²/rD}가 됩니다.
작용인덕턴스가 자기인덕턴스와 상호인덕턴스의 합이라고 하는 것은
단순한 숫자를 더하는 합이라기보다는 전류의 방향에 의해 고려해야하는 것으로 이해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3상 3선식 송전선로에서는 3상 평형 교류가 흐르므로,
그때의 작용인덕턴스는L = Li - Lm으로 구합니다.
여기서 Li는 대지를 귀로로하는 1선의 자기인덕턴스,
Lm은 대지를 귀로로 하는 회로 간의 상호인덕턴스를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