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능사필기
추가 답변 부탁드립니다!
- 작성자
- 전기쟁이
- 작성일
- 2023-07-19 17:47:23
- No.
- 160548
- 교재명
- 페이지
- 번호/내용
- 강사명
친절한 지난 답변 감사했습니다
그러나 답변을 봐도 이해가 안되는 것들이 있어 추가 질문합니다
155p
#16~17
16번에서는 Z 값을 구할 때 허수부로서 구하고 17번에서는 Z 값을 피타고라스 공식을 통해 구했는데 왜 다르게 구하는 것인가요?
왜 16번과 17번은 Z 값을 다르게 구하는 것인가요?
208p
#01
어떤 기준을 두고 손가락을 위치해야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전류가 나오는 것인지 들어가는 것인지도 모르고 N극과 S극의 위치도 모르는데 손가락을 어떻게 위치해야 될지 모르겠습니다.
유튜브에서 전병칠 선생님의 플레밍의 왼손 법칙을 봤는데도 모르겠습니다.
문제에 엄지, 검지, 중지를 위치할 수 있는 힌트가 무엇인가요?
217p
#05
해설에 보면 2n이라고 써져있는 거 보니까 V2 x I2, V4 x I4 이런 식으로 된다고 하는 거 같은데 어차피 V2 x I2와 V1 x I1 값이 같은데 아무거나 짝지어서 계산하면 되는 거 아닌가요?
242p
#14
부하증가가 예상되는 지역에는 V결선 말고 더 효율이 좋은 델타나 와이 결선을 해야하는 거 아닌가요?
질문1.
16번은 보기의 형태를 보면 복소수 형식으로 되어있고, 17번은 복소수 형식이 아닌 크기 형식으로 되어있기에 접근 방식이 다르게 됩니다.
다만, 둘 다 틀린 접근은 아니며 어떠한 형태로 표현하는가에 대한 차이로 생각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질문2.
코일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고 하였으므로 3번 부분에서는 위쪽으로 4번 부분에서는 아래쪽으로 코일의 회전방향이 결정됩니다.
3번 측에서 기준을 잡고 엄지가 힘의 방향이니 위쪽으로 엄지를 치켜 세웁니다.
이때 1번이 S극 2번이 N극으로 가정을 해보면 자속은 N극에서 S극으로 가므로 엄지손가락의 방향도 결정됩니다. 자연스럽게 중지의 방향(전류)은 교재로 들어가는쪽으로 형성되며 이것을 +극으로 잡은 것입니다.(일반적으로 들어가는쪽이 +이기 때문)
질문3.
V2n은 2차측을 설명하고 있는 것입니다. 보통 변압기는 출력측이 2차측이므로 2차측에 대한 용량을 정의한 것입니다.
질문4.
부하증가 예상되는 지역은 이미 델타결선을 채용합니다. 다만, 부하가 증가되었을 때를 대비하여 변압기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V결선 채용 준비를 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