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능사필기
어떤 공식을 써야 하는지 어떻게 판단하나요?
- 작성자
- 전기쟁이
- 작성일
- 2023-07-26 18:17:25
- No.
- 160761
- 교재명
- 페이지
- 번호/내용
- 강사명
P=V제곱/R , P=I제곱xR
두개 중에 어떤 공식을 써야하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문제마다 쓰는 공식이 다른데 기준을 모르겠어요ㅠㅠ
53p
#03
직렬 > 4R / 병렬 > 1/4R
P=I제곱xR
직렬 > I제곱x4R=4xI제곱xR
병렬 > I제곱x1/4R=1/4xI제곱xR
이러면 직렬이 더 큰 거 아닌가요?
#04
P=VxI=Vx20=60 V=3
I=30, V=3, P=VxI=3x30=90
뭐가 잘못된 건가요?ㅠㅠ
#05
마찬가지로 P=VxI 공식이 왜 성립 안되나요?ㅠㅠ
54p
#08
146이라는 숫자와 73이라는 숫자가 어떻게 나온 건가요?
#09
전력=1kW
P를 1000으로 계산 안하고 1로 계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1kW면 1x1000 아닌가요?
55p
#16
t=20x60x60[sec] 아닌가요?
15번 문제에서 t=20x60 한 거처럼 계산해야 되는 거 아닌가요?
66p
#24
앞에서 온도계수 설명할 때 반도체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저항이 감소해 부저항 온도계수라고 하지 않았나요?
왜 반도체가 답이 아닌가요?
질문1.
아래 영상에서 해당 내용을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학습에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6O75pVy-Ie0
질문2.
I^2R에서 I값은 V/R로 풀어쓸 수 있습니다. 이때 V/R전체의 제곱에 해당되기에 기존의 R과 상쇄되어 결국 같은 식이 됩니다.
즉, 같은 값을 구하게 됩니다.
질문3, 질문4.
P=VI에서 V와 I값은 어느하나가 고정될 수 없습니다. 전류값이 바뀌면 전압이 변하고, 전압이 변하면 전류가 변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해설에서는 I^2을 이용합니다. I가 바뀌더라도 저항 R은 고정값으로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질문5.
아래 영상에서 해당 내용을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NWH6n40LGc
질문6.
전열기 전력 공식을 유도할 때 P값 자체가 kW로 유도가 됩니다. 때문에 kW의 단위를 P값에 써주셔야 합니다.
질문7.
문제에서 kWh의 단위를 물었습니다. 즉, 시간당 kW만큼의 전력을 묻는 문제입니다.
때문에 시간의 단위를 넣어주셔야 합니다.
질문8.
온도가 높아질 때 저항값이 작아지는(전도율이커지는) 상황이므로 부의 특성입니다. 문제에서는 이런 특성이 아닌 것을 선택하라고 하였으므로 1번 구리를 선택해 주셔야 합니다. 구리는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값이 같이 증가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