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전동기 기동과 운전에서, 인터록 사용에 대한 이해가 안됩니다.

작성자
Happy
작성일
2023-08-01 19:27:36
No.
160871
교재명
기사실기기출문제 2003년
페이지
100
번호/내용
03/2/#06
강사명
이재현


안녕하세요 선생님,

1. 01/2/#03 와이델타 시퀀스(아래 첫번째 사진)에서는 인터록을 사용하지 않는데, 기동기 보상기법인 03/2/#06의 시퀀스(아래 두번째사진)에서는 인터록(52N/52S)을 사용하니 많은 혼동이 됩니다. 왜 하나는 인터록을 사용하고 하나는 아닌지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인터록에 대한 저의 이해는, 정역 운전처럼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회로에서는 인터록이 필요하지만, 전동기 기동과 운전처럼 한쪽방향 즉 기동에서 운전으로만의 시나리오가 있는 경우에는 불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실무에서는 어떠한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가르쳐 주심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COMMENTS

담당교수
2023-08-02 09:02:25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일반적으로 기동과 운전을 동시에 하면 안되기 때문에 기동, 운전 사이에 인터록을 해주셔야 합니다.


01년도 2회는 MC3-b접점이 그 역할을 한다라고 이해하시면됩니다.


보통은 03년도 2회차 6번문항과 같이 기동, 운전 사이에 인터록을 그려줘야합니다.


2) 앞서 말씀드렸듯이 정역 뿐만아니라 기동과 운전 사이에도 인터록을 해주셔야합니다.

Happy
2023-08-02 13:48:51
선생님의 명쾌한 답변 매우 감사합니다.
Happy
2023-08-02 17:53:34
선생님 기동과 운존에서도 인터락이 필요하다는 것은 이해하였습니다. 하지만 01년도 2회에는 왜 인터락이 아니고 MC3-b 만 있는 one-way 락만 있는가가 제 질문이었습니다. 즉, 왜 MC2-b 에 해당하는 것은 없는가의 질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