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권장할 문제 풀이법을 바꿨으면 합니다.
- 작성자
- 강토
- 작성일
- 2023-08-04 01:19:42
- No.
- 160906
- 교재명
- 전기기사 기출 2권
- 페이지
- 107
- 번호/내용
- (3) 차단기 단락전류
- 강사명
- 이재현
* 94년부터 비교적 빈출 문제였던 13년도 2회 2번 문제 (3)의 해법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소문제 (3)의 차단기의 단락 전류를 구하는 부분입니다. 꽤 많은 질문이 들어왔을 걸로 생각합니다.
CB차단기 (T2 변압기의 앞단에 위치)의 단락 전류 구하기
해법 1. 교재의 해법
발전기~변압기1차 %X1 = 60+24+100+48 = 232 [%]
조상기~ T2 3차 %X2 = 200 + 60 = 260 [%]
- 발전소와 조상기의 회로를 병렬로 보고 T2 3차 및 조상기 측 (%X2)의 리액턴스비를 곱하여 구함.
Is1 = Is * %X2 / (%X1 + %X2) = 611.59 * 260 / (232 + 260) = 323.2 [A]
77kV에서의 값을 154kV에서의 값으로 환산
323.2 * 77/154 = 161.6[A]
해법 2. CB 차단기를 통과하는 발전소선의 리액턴스의 합으로 구하는 해법
Is1 = 100/232 /(root3*154)*100*1000 = 161.6 [A]
* 해법 2는 교재 해법1과 답은 같지만 CB 위치가 T2 1차 후단에 위치하여 실제 CB가 T2 1차 앞에 위치하므로 2로 풀면 안된다고 설명을 하셨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살펴보면 해법 1은 병렬 리액턴스비로 배분하였으므로 발전소선 G+T1+TL+T2-1 부분에 T2의 1차분이 포함되어 계산되었습니다.
즉, 260 / (232 + 260) 에 포함된 것입니다. 즉, 실제로 CB 위치는 T2의 1차 뒷쪽에 있는 것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당연히 해법 2로 푸는 것과 같을 수 밖에 없고 해법 1과 2는 전적으로 같은 해법입니다.
* 다른 문제에 보면 라인 전체의 전류로 단락 전류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차단기 앞단까지만 임피던스(리액턴스)를 합하여 구하는 데 왜 여기는 굳이
차단기 후단의 T2 1차까지 포함시켜 푸는 지 이해가 안됩니다. 앞에 놓고 풀면 동영상에서 설명하셨듯 당연히 다른 답이 나옵니다.
* 해법 2로 풀어도 문제는 없지만,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전압 환산에 대한 부분을 쉽게 잊습니다. 당연히 틀린 답 내놓기 쉽습니다.
상황이 이러하니 차라리 해법 2로 푸는 것이 더 현명한 일일 것 같습니다.
( 답이 틀리든 해법이 잘못됐든 두 가지 중의 하나가 문제가 있는 것 아닌가요 ?)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문제를 푸실 때는 발문이 가장 중요합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상황에서 해석을 하셔야 하는데,
해당 문제는 s지점에서 단락사고가 났을 경우 차단기에 흐르는 전류를 구해야 합니다.
해법2로 푸신 경우는
차단기에서 단락사고가 났을 경우 차단기에 흐르는 전류값입니다.
다른 문제에서 CB에 차단용량을 구하라 라고 주어지고 차단기 전단쪽에 합성 %Z구하는 이유도,
차단기에 사고가 발생했을 때 차단기에 흐르는 단락전류를 구해야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