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IT 계통 질문사항

작성자
최승민
작성일
2023-08-04 21:07:20
No.
160909
교재명
전기기사 실기 이론
페이지
194, 226, 234~235
번호/내용
IT계통
강사명
최종인

안녕하세요 IT계통에 관련된 사항들이 정리가 안되어 질문드립니다.


1. P.194 IT 계통의 그림을 보면, 계통의 보호접지와 설비의 보호접지가 나누어져 있습니다. 계통의 보호접지가 어떤 의미인가요?  왜 노출 도전성 부분을 단독 혹은 일괄적으로 계통 보호 접지 도체에 접속하나요? 설비의 보호 접지에는 단독 혹은 일괄 접지 하지 않나요?


2. P.226 비접지 국부 등전위 본딩에서 제가 이해한 내용이 맞는지 질문 드립니다.  A, B 설비의 보호 접지가 없기 때문에 A 설비에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인체 접촉시 감전사고가 발생하므로, B 설비와 등전위본딩하면 인체가 전기설비 상호간에 접촉하더라도 등전위 상태이기 때문에 인체에 고장전류가 흐르지 않도록한다.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COMMENTS

운영교수
2023-08-07 10:26:43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계통의 보호접지는 배전선로 측에 접속된 접지를 의미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노출도전성 부분은 단독 혹은 일괄적으로 계통 보호 접지 도체에 접속 한다는 의미는 아래 사진의 왼쪽처럼 PE에 일괄접지를 하거나, 오른쪽처럼 단독으로 PE에 연결할 수 도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설비의 보호접지는 금속제 외함접지나 기기접지를 통해 감전사고를 예방할 목적으로 하는 접지방법으로, PE(보호도체)에 접속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2. 네, 맞습니다. 등전위본딩이라고 하는 것은 말 그대로 전위를 갖게 만들어주기 위한 대책입니다.

특히, 비접지 국부 등전위본딩은 절연고장으로 인해 감전되는 것을 보호하고자 접지를 하지 않은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써 인체가 접촉하지 않았을 때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