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질문입니다.

작성자
djseo
작성일
2023-08-20 13:22:16
No.
161209
교재명
전기기사실기기출문제집 1권
페이지
361
번호/내용
14번
강사명
이재현

해설 영상에서 3상 4선식 다중 접지 배전 방식에서 지락 사고시의 장점이 1선 지락 시 

대지 전위 상승이 root 3배가 된다고 설명해주셨는데요.

1. 판서하신 그림은 직접 접지처럼 보입니다. 다중접지와 직접접지는 같은 개념인건가요?

2. 직접 접지 방식에서는 1선 지락 시 지락상은 0V, 건전상의 대지 전위 상승이 없다라고 알고 있는데

    다중접지 지락시에는 어떤 차이로  건전상의 대지전위 상승이 루트 3배가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영상 올려주신 Y open delta GPT 해설 강의에서 처럼  벡터적으로 root 3배가 되는것과 같은 이치인가요?


COMMENTS

담당교수
2023-08-21 09:28:31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학습에 불편을 드려서 죄송합니다.

비접지 방식의 경우 1선 지락 사고시 건전상 전압 상승이 √3배이며, 최대 6배까지 상승합니다.

직접접지 방식의 경우 1선 지락 시 건전상의 대지전압 상승이 거의 없습니다.

유효 접지의 경우 1선 지락 고장 시 건전상 전압이 상규 대지 전압의 1.3배를 넘지 않는 범위에 들도록 중성점 임피던스를 조절해서 접지하는 방식입니다.

해당 내용으로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중접지 = 직접접지로 봐주시면 됩니다.

일반적인 직접접지의 경우 저저항 접지이기 때문에, 접지된 지점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위 상승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것은 중성점이 픽스되어있다고 생각하시면되는데,

마치 서울과 강원도와 인천에 사는 친구들이 부산 여행을 가기로 했는데 "대전"에서 모여서 부산으로 출발할 때, "대전"이 중성점 역할을 하게 됩니다.

즉, 이 지점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위상승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다만, 비접지 방식 또는 소호리액터(고저항) 접지 방식의 경우 지락되 전류가 대지 정전용량(C)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전위 상승이 일어나게 됩니다.

GPT같은 경우도 GPT의 결선이 Y결선인것이지,

실제 선로는 비접지 델타회로의 영상전압을 검출하기 위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