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R-L-C 병렬공진 용량성,유도성

작성자
don-ho
작성일
2023-08-30 11:17:37
No.
161449
교재명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페이지
46,47
번호/내용
공진회로
강사명
이재현

안녕하세요.

공진회로 학습중  이재현 교수님 직렬공진/병렬공진  동영상 강의를 보고  이해를 못하는 부분이 잇어 추가로 문의드립니다.


추질1)  R-L-C 직렬 공진시  그래프가 위로 뾰족하게 봉오리가 된것을 설명시  공진점을 기준 -(1/wC) 가  wL 보다 크기 때문에, 공진주파수 보다 작을 때

              용량성이다.  라고 하셧는데요,,, 이부분의 이해가 안되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 무엇이 크다는 의미인지요? - 용량성 일때  -- 아래 사진의 왼쪽 그래프 

               >                                                       - 유도성 일때

               


               그리고 유도성 부분까지도 좀더 상세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열공천상의1
2023-08-30 15:13:12
수험생인데요
첨예도랑 V곡선을 같이 보면
V ^예요

여기서 fr을 기준으로 직렬기준
왼쪽은 L, 오른쪽은 C로 보시고
(병렬은 왼쪽이 C 오른쪽이 L임)

1) C가 L보다 크다는 = 오메가w를 기준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듯이 L< C로 보시면 되구

2) 왼쪽 직접 그리신 거 기준으로
///세개선 중에 가운데선 기준으로 밑으로 가면 C에 가까우므로
L보다 C가 크네요
왜냐하면 위에 말했듯이 공진은 L=C인데 가운데선 밑으로 갔으니 C가 더 크다는 말씀이신것 같네여

저도 이론 듣고, 기출문제 보긴하는데
왼쪽 그림은 벡터도 같은데 크게 신경 안쓰셔도 될 것 같아요

핵심은 V곡선이든 첨예도든
직렬시 왼쪽은 :L, 오른쪽이 C이고
병렬시 왼쪽이 C 오른쪽이 L
이게 중요한것 같아요
운영교수
2023-08-31 09:30:11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R-L-C 직렬 공진 회로 영상(5분 20초) 그래프를 기준으로 말씀드립니다.
유도성 리액턴스 ωL과 용량성 리액턴스 -1/ωC, 둘의 합 ωL - 1/ωC 그래프에서
공진 주파수를 기준(ωL = 1/ωC) 즉, j가 0인 지점에서 왼쪽은 j 값이 음수입니다.

j 값이 음수가 되려면 1/ωC >ωL이고, 용량성 리액턴스가 유도성 리액턴스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때문에 회로는 용량성 부하가 되어 전류가 전압보다 앞서게 됩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j 값이 양수가 되려면 1/ωC < ωL이고, 유도성 리액턴스가 용량성 리액턴스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때문에 회로는 유도성 부하가 되어 전류가 전압보다 뒤지게 됩니다.

교재 ω와 전류 I 그래프(봉오리 모양)에 적용하면
공진은 j값이 0(ωL = 1/ωC) 즉, 리액턴스 X가 0일 때 임피던스 Z = √(R² + X²) = R로 최소가 됩니다.
전류값 I = V / Z 으로 Z값이 최소 R 일때 최대가 됩니다. 따라서 교재와 같은
공진주파수일 때 전류는 최대가 되고 공진주파수 보다 크거나 작을 때 전류가 작아지는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R-L-C 병렬 공진 회로도 이와 같이 적용하시면 됩니다.
R-L-C 병렬 공진 회로 영상(4분 40초)에서
용량성 리액턴스 ωC과, 유도성 리액턴스 -(1/ωL), 둘의 합 ωC - 1/ωL 그래프에서
공진 주파수를 기준(ωC = 1/ωL) 즉, j가 0인 지점에서 왼쪽은 j 값이 음수입니다.

j 값이 음수가 되려면 1/ωL >ωC이고, 유도성 서셉턴스가 용량성 서셉턴스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때문에 회로는 유도성 부하가 되어 전류가 전압보다 뒤지게 됩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j 값이 양수가 되려면 1/ωL < ωC이고, 용량성 서셉턴스가 유도성 서셉턴스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때문에 회로는 용량성 부하가 되어 전류가 전압보다 앞서게 됩니다.

교재 ω와 전류 I 그래프(봉오리 모양)에 적용하면
공진은 j값이 0(ωL = 1/ωC) 즉, 서셉턴스 B가 0일 때 어드미턴스 Y = 1/R로 최소가 됩니다.
전류값은 I = V × Y 으로 Y값이 최소 1/R 일때 최소가 됩니다. 따라서 교재와 같은
공진주파수일 때 전류는 최소가 되고 공진주파수 보다 크거나 작을 때 전류가 커지는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don-ho
2023-08-31 10:09:41
자세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직렬공진 ωL = 1/ωC, j 0 기준 j 값이 음수가 되려면 왼쪽부분 ωL < 1/ωC 용량성리액턴스가 커야 한다. 음수가 되려면 wc 가 분모로서 wc 값이 커저야 1/wc 이 0보다 작아저 , 음수가 된다로 이해하였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