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질문입니다.

작성자
김진원
작성일
2023-09-15 20:12:10
No.
161978
교재명
2021 전기자기학
페이지
106
번호/내용
8)
강사명

1. 두 경우의 자위를 구하고 해당 차가 "자속의 변화"가 됩니다.라고 답변해주셔서 자위공식의 투자율이 

2021 전기자기학106p 8)과 달라서 질의를 드렸는데 왜 갑자기 무관하다고 하시는 겁니까?


2. 양호한 피뢰기 설치는 통신선 측 유도 장해 억제 대책이 맞지 않나요?


3. 선로의 전압 상승은 이상 전압 상승이라고 답변 해주셨는데 정규반 교재에서는 지락인데 이상 전압 최대는 비접지라고 되어있는데 발문과 안 부합하지 않나요?




COMMENTS

운영교수
2023-09-18 14:23:39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원활한 질의응답을 위해 한 문제당 하나의 질문 게시글로 교재명, 페이지를 작성해주시거나 실제 문항을 첨부해 주시면 더욱 정확한 답변이 될 수 있습니다.


1.

먼저, 학습에 혼동을 드려 죄송합니다. 

패러데이 법칙 공식에 의해 자위의 차를 구한 뒤 시간으로 나누어 유기기전력을 계산하면,
해당 문제 보기와 다르게 투자율이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현재로서는 출제 문제 오류 또는 투자율을 문제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으므로
임의로 생략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해당 문제에 대한 이론은 답변을 참고하여 학습하시길 바랍니다.


2.

문제에서 의도하는 것은 송전선(전력선) 측에서 발생하는 유도 장해를 경감하는 대책으로 판단됩니다.

송전선에 충분한 연가, 송전계통의 중성점 접지개소를 택하여 중성점을 리액터 접지하거나, 송전선을 통신선과 멀리 이격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성능이 양호한 피뢰기를 설치하는 것은 통신선 측에서 발생하는 유도 장해를 경감하는 대책입니다.


3.

해당 질문에 대해 답변 이후 반복적으로 질의를 주신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원하시는 답변이 되지 못해 죄송합니다.

해당 문제에 관해 기존에 알고 계신 정보와 혼동이 오는 점에 대해 자세히 기입해 주시면 성심성의껏 답변도와드리겠습니다.


우선, 1선 지락사고 시 이상 전압 최대는 말씀하신 것처럼 비접지 방식이 맞습니다.

14년 1회 26번 문제에서 1선 지락 고장 시 비접지 방식은 접지를 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지락전류를 고려하지 않아 통신 장애와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