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안녕하세요.
- 작성자
- DuSeungJae
- 작성일
- 2023-10-11 18:12:52
- No.
- 162880
- 교재명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 페이지
- p.39
- 번호/내용
- 4/감쇠비, 제동비
- 강사명
- 최종인
안녕하세요.
회로이론 p.178 페이지에
1)R-L-C 직렬회로 ③회로 조건에 따른 응답특성 표를 보면
과제동(비진동)
임계제동(임계진동)
부족제동(감쇠진동)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제어공학에서는 3장 4번 문제 풀이해주실 때 정리를 해주셨는데요.
과제동(무진동), 과감쇠 -> 여기서 보면 회로이론과 같이무진동을 비진동으로 말할 수 있나요?
임계제동(임계진동), 임계감쇠
부족제동(감쇠진동), 부족감쇠
무제동(무한진동), 비감쇠 -> 여기서도 갑자기 비가 붙어서 헷갈리는데 감쇠를 진동으로 해석하기에는 틀린 거 같고, 감쇠를 제동으로 해석해도 괜찮을까요?
그냥 궁금한 건 2가지입니다.
1. 회로이론에서 배운 과제동(비진동)
제어공학에서 배운 과제동(무진동), 과감쇠 이렇게 배운 걸 비교해 보니 비진동=무진동이 같은 말인지 궁금합니다.
2.제어공학에서 배운 무제동(무한진동), 비감쇠 여기서 비감쇠라는 말이 무제동 쪽에 가까운지, 무한진동 쪽에 가까운지 궁급합니다.
먼저, 학습에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제어공학의 제어시스템에서 전달함수에 따라 일정 값에 도달하기 전까지
과도적으로 나타나는 응답을 과도 응답이라 합니다.
이때, 회로이론에서 배운 직류 R-L-C 직렬회로는 과도 응답의 한 예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회로이론 직류 R-L-C 직렬 회로에서 스위치가 ON 되어 동작을 하기 되면
전류가 0에서 특정 값으로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 R과 L,C의 조건에 따라
과제동, 임계 제동, 부족 제동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로이론, 제어공학에서 배운 과제동(비진동)은 서로 동일한 형태이며,
비진동, 무진동 모두 과제동의 형태와 같이 진동을 하지 않고 일정 값에 바로 도달하는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무제동은 출력이 일정 값에 수렴하지 않고 무한 진동하는 형태로 무제동과 무한진동은 같은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