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공사실기

공사실기 기출(2)

작성자
효이
작성일
2023-10-27 20:21:41
No.
163372
교재명
전기공사기사 실기 종합서 (01년~22년 기출 수록) (64GB USB)
페이지
0
번호/내용
0
강사명
최종인

1. 직류송전방식 장점으로 '절연레벨을 낮출수있다'라고 적혀있는데 절연레벨은 높으면 좋은거아닌가요?


2. 절연레벨이랑 절연내력이랑 같은건가요?


 3. 16년 2회, 5번

(1)에서는 '가요전선관'이고 (3)에서는 '가요전선관'이 아니라 '가요관'인데 왜 다른건가요? 다른걸로 암기해야하나요?


4. 지선공사에 필요한 자재


'지선'이라고만 적어도 되나요? 그리고 '전주근가'도 적어도 되나요?


5. 저전압계전기랑 부족전압계전기랑 같은건가요?


6. 14년 1회, 9번


과전압계전기도 되나요?


7. 14년 4회, 12번


스폿 네트워크 배전방식 이라 써도 되나요?


8. 스폿 네트워크 배전방식이랑 망상식(네트워크) 배전방식이 다른건가요?


9. 22년 4회, 15번


답이 150/5가 맞나요? 200/5가 맞나요?

COMMENTS

담당교수
2023-10-30 09:40:21

1. 직류송전방식 장점으로 '절연레벨을 낮출수있다'라고 적혀있는데 절연레벨은 높으면 좋은거아닌가요?

→ 직류 전압은 교류전압 최고치의 1/루트2(실효값)이므로 전압이 작게 걸립니다.  따라서 절연을 강하게 하지 않아도 됩니다. 절연레벨이 낮다는 것은, 선로나 기기의 절연강도를 작게 할수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2. 절연레벨이랑 절연내력이랑 같은건가요?

→ 절연레벨이 높다 = 절연에 대한 대비가 잘 되어 있다. = 절연내력이 높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듯 합니다.


1,2) 결론적으로 절연 레벨이 높다라는 것은 그 만큼 안전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절연 레벨이라는 내용자체를 도입한 이유가 경제적인 부분입니다.


경제적인 부분을 고려하지 않았다면, 절연 레벨을 그냥 무한대로 설정해 버리면 되기 때문에 이러한 용어가 등장하지 않았을 겁니다.


우리가 고급 자동차를 구입하면 좋겠지만, 지갑사정에 맞추어 자동차를 구매하는 것과 같은 이치로 봐주시면 됩니다.


3. 16년 2회, 5번

(1)에서는 '가요전선관'이고 (3)에서는 '가요전선관'이 아니라 '가요관'인데 왜 다른건가요? 다른걸로 암기해야하나요?

→ 동일한 용어입니다.


4. 지선공사에 필요한 자재

'지선'이라고만 적어도 되나요? 그리고 '전주근가'도 적어도 되나요?

→ 지선근가는 지선에 사용하는 공사자재이고, 콘크리트 근가는 콘크리트 전주 및 지선에 사용하는 공사자재로 콘크리트 근가가 지선근가에 포함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지선"은 정답처리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5. 저전압계전기랑 부족전압계전기랑 같은건가요?

→ 동일한 의미입니다.


6. 14년 1회, 9번

과전압계전기도 되나요?

→ 네, 가능합니다.


7. 14년 4회, 12번

스폿 네트워크 배전방식 이라 써도 되나요?

→ 망상식은 공급자측에서 수용가에 공급을 할 때 네트워크 방식으로 배전을 뜻하며,스폿네트워크는 하나의 대형수용가에서 변전소로부터 고압 지중전선로로 2회선 이상의 선로로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을 뜻합니다. 내용은 동일할수 있으나 주체가 어디인가의 차이로 볼 수도 있습니다.


8. 스폿 네트워크 배전방식이랑 망상식(네트워크) 배전방식이 다른건가요?

→ 7번 답안 참고바랍니다.


9. 22년 4회, 15번

답이 150/5가 맞나요? 200/5가 맞나요?

→ CT비 선정시 1.25~1.5배 사이에 값이 없다면 근사치로 선정하는데 명확히 법적으로 상위값으로 하라 또는 근사값으로 하라는 규정은 없습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별다른 언급이 없다면 근사치의 정격이면 정답인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