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질문
- 작성자
- 이자리이
- 작성일
- 2023-10-31 11:19:50
- No.
- 163474
- 교재명
- 2023 전기기사 필기 이론서
- 페이지
- 123
- 번호/내용
- 36
- 강사명
- 최종인
안녕하세요
사진 첨부 했습니다
- 첨부파일 : IMG_0087.png (432.54KB)
V0 = 무부하 수전단 전압
Vn = 수전단의 정격전압이예요
3300/210은 문제 풀다보면 최종인 원장님이 말씀하시기는 하는데
전기학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혼용되어 들어와서
문제에 따라 3300 이 1차 전압이 될수도 있고, 상전압이 될수도 있데요
그럼 이게 상전압인지 1차전압인지 어떻게 구분하냐?
문제의 지문을 통해 확인하라고 하셨어요
대부분 별말 없으면 뭐라 하셨는데 그건 제가 덜 공부해서 ㅠㅠㅠ 기억이 안나요 ㅠㅠㅠ
아뭏튼
3300 = 상전압, 1차전압
210 = 선간전압, 2차 전압
그런데!
그런데!!!
지문 뒤의 정격 출력이라는 말을 통해
210이 2차 정격전압이라는 것을 알 수 가 있네요
그러면 이미 배우셨고 앞으로도 배우시게 될 식인
전압변동율의 식은
무부하 정격전압(수전단 전압) - 정격 2차 전압 / 정격 2차 전압이예요
질문자분
기출 문제 풀다보면
다음중 전압 변동율의 식은 무엇인가?
1) 무부하 1차전압 - 정격전압 / 정격전압 2) 무부하 2차전압 - 정격 1차전압 / 정격 1차전압
이런 문제도 나와요
식을 정확하게 푸셔야 되요
책에도 나와요 ㅜㅜㅜ
결론
Vn = 정격전압 맞아요
전압변동률 ε = Vo - Vn / Vn 에서
Vo는 무부하 단자전압(정격전압)이며, Vn은 단자전압(정격전압)을 의미합니다.
1번 질의에서 변압기에 주어진 3300/210[V]는 변압기 코일의 상전압이 아닌 각 단자 측의 전압을 의미합니다.
이상적인 변압기에서는 전압강하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값이 변압기 코일의 걸리는 전압과 동일하였지만,
문제에서는 전압강하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값을 반드시 고려해 주셔야 합니다.
즉 문제에서 무부하일 때 2차측 단자전압을 묻고 있기에,
V₂o = 무부하 2차측 단자전압(정격전압), V₂n = 2차측 단자전압 = 210[V]가 됩니다.
※ 추가로, 원활한 질의응답을 위해 교재명을 확실히 기입해 주시길 바랍니다.
필기 이론서가 아닌 이론서 중 어떤 과목인지 적어주세요!
필기 이론서 (X) 전기자기학(O) 전기기기(O)
3300/220도 단자전압비라고 보면 되나요?
다른문제도 다 단자전압비라고 생각하면 되나요?
최종인 원장님 강의에 28번 문제 풀이에 등가회로를 그려서 풀이 해주셨는데 3300/220을 코일의 전압비로 설명 하신거처럼 제가 이해해서 다른 문제들 풀때 코일의 전압비로 착각했습니다.
뒤에 변압기라는 힌트가 나오고
변압기의 구조가 y결선, 델타 결선보다 단권변압기 구조로 자주 나오니
이해하기 참 쉽죠읭? ㅋ
그리고 위에도 말씀드렸다 시피
이건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기연구하시는 분들이 확실히 구분 안하고 연구하셔셔
그런거라
다산에듀의 문제가 아니라
소위 가우스가 실수한 거예요 ,,,ㅜㅜ
댓글에다 재질문 하면 못본다고 새 글로 질문하래요(새 질문글 보느라 저도 댓글에 질문하면 지나간거라고 안보거든요
2. 회로이론에서 KEC 까지 공부하다 보면 나오는게
상전압/선간전압, 1차 전압/2차전압이라...
방법이 없는 것 같아요
저도 질문자분도 엉덩이로 공부하시는게 정답 같아요...
가우스 이전부터 잘못된 거라....
같이 힘내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