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의 길이가 일정해야한다는 조건이 있어야 합니다.
전선의 길이가 일정할 때 지지점 간의 간격(경간)이 증가하면 당연히 이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그런데, 해당 공식을 볼 때는 전선의 길이를 일정한 것으로 보는 것이 아닙니다.
또한, 이도의 공식 D = WS² / 8T를 전선의 실제길이 공식 L = S + 8D² / 3S에 대입해보면
L = S + ω²S³ / 24T가 되는데, 경간이 2배 증가했다고 가정한다면
이도는 4배 증가하는 반면에 전선의 실제길이는 약 8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경간이 커졌을 때 이도가 증가하는 것보다 전선의 실제길이가 훨씬 더 많이 증가하므로
경간이 커졌을 때 이도가 작아진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지난번 답변을 누락한 점 대단히 죄송하며 아래 내용을 한번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첨부하신 것처럼 상황이 발생하려면,
전선의 길이가 일정해야한다는 조건이 있어야 합니다.
전선의 길이가 일정할 때 지지점 간의 간격(경간)이 증가하면 당연히 이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그런데, 해당 공식을 볼 때는 전선의 길이를 일정한 것으로 보는 것이 아닙니다.
또한, 이도의 공식 D = WS² / 8T를 전선의 실제길이 공식 L = S + 8D² / 3S에 대입해보면
L = S + ω²S³ / 24T가 되는데, 경간이 2배 증가했다고 가정한다면
이도는 4배 증가하는 반면에 전선의 실제길이는 약 8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경간이 커졌을 때 이도가 증가하는 것보다 전선의 실제길이가 훨씬 더 많이 증가하므로
경간이 커졌을 때 이도가 작아진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래 경간에 대한 식을 이도의 공식에서 S에 대입하여 정리한 식도 첨부드립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전선의 실제길이가 증가하면 이도또한 증가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