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P46 동심구체의 정전용량에 관한 질문
- 작성자
- Min
- 작성일
- 2023-11-19 23:19:57
- No.
- 163818
- 교재명
- 전기산업기사 필기 합격 패키지
- 페이지
- P47
- 번호/내용
- P25 동심구체의 전위와 P46 동심구체의 정전용량 내용간의 혼동
- 강사명
- 이재현
안쪽 도체를 도체A
안쪽 도체를 감싸고 있는 도체B 라고 가정한 조건에서
도체 A를 접지했다고 한다면 도체 A의 전위는 0이 됩니다.
도체 A의 전위가 0이면 도체A의 전하도 0이 되므로 전하를 저장할 수 없게 됩니다.
그렇다면
[전기자기학 6강에서]
도체A의 전하가 0인 경우에서
a와b구간사이의 구간은 전하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기자기학 11강에서]는
AB사이의 구간에서 매질이 존재하므로 전하를 저장할 수 있다고 나옵니다.
[전기자기학 6강]으로 접근하면
AB구간에서 전하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들었는데,
1. 그렇다면 AB구간을 전하를 저장할 수 없는 구간으로 봐야 하는 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2. 그리고 왜 AB사이의 구간에서 매질이 존재하는지 모르겠습니다.
3. 스크린샷 사진에서 정전용량이 왜 병렬연결로 되어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동심구에서는 2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외구가 접지되어있을 때와 내구가 접지되어있을 때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먼저, 외구가 접지되어있을 때
이때 외구바깥쪽이랑 무한히 떨어진 점에서의 전위가 둘 다 0전위로 같으므로
전위차가 발생하지않으며, 그에따라 전하는 내구와 외구사이에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내구가 접지되어있고 내구와 외구안쪽사이에도 매질이, 외구바깥쪽에도 매질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무한히 떨어진 곳에서의 전위를 0 전위로보고, 내구는 접지되어있으므로 전위를 0이라고 본다면,
전하는 C1과 C2에 저장되는 것입니다.
즉, 전하는 매질이 존재하는 곳을 통해 저장될 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전하는 전기력선이 존재하는 곳에 있습니다.
즉, 동심구체에서는 두 구체 사이의 공간에 전하가 저장됩니다.
구체일 경우에는 그 공간(매질)이 공기이고,
동심구체에서는 그 공간(매질)이 유전체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