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임계안정과 허축의 교차점
- 작성자
- 이리오너라
- 작성일
- 2023-11-27 18:22:40
- No.
- 163921
- 교재명
- 2021 전기기사 필기 제어공학
- 페이지
- 71
- 번호/내용
- 근궤적과 허축의 교차점
- 강사명
안녕하세요 예전에 사둔 책을 보고 있어서 양해부탁드립니다..
근궤적의 허축과 교차점 에 관한 이론에서
허축과 교차하게되면 임계안정이라는 점과 루스표 작성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였는데데요
다만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1. 왜 180-k/9 가 0이 되어야하는지
2. 1의 결과로 k=180일 때 , 왜 보조방정식을 2행의 식으로 하는지 입니다.(모든 루스표에서 2행의 식을 보조방정식으로 하면 되는것인지)
https://youtu.be/ePN9KjnJxhs?si=NMmaJm33cBpkbYPJ
이영상을 참고하였는데 k값을 180으로 했을 때 F(s)는 3차항이 있어서 s값을 구하기 어려워서 2행의 식으로 한다고 하시는데 3차식과 2차식은 엄염히 근의 개수부터 다른건데 왜 그렇게 하는건가요….
다소 복잡한 질문일 수 있지만 답변 부탁드니다 ㅠㅠ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근궤적이 허수축과의 교차점은 임계안정일 때를 뜻합니다.
루스표에서 1열에 0이 포함되면 그 제어계는 임계안정을 뜻하며,
해당 예제에서는 0이 될 수 있는 하이 180-K/9 밖에 없으므로 이 항이 0이 되어야 합니다.
임계안정이 되기 위해서는 특성근이 "순허수"가 되어야합니다.
즉, as²+b=0 꼴의 식이 되어야 하므로 s¹의 계수는 0이 되게 하는 K값을 적용해 보조방정식을 세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