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안녕하세요.
- 작성자
- DuSeungJae
- 작성일
- 2023-12-18 19:51:11
- No.
- 164219
- 교재명
- 전기설비기술기준
- 페이지
- p.37
- 번호/내용
- 2)/외부피로시스템 등전위본딩
- 강사명
- 최종인
안녕하세요.
질문1)
외부피뢰시스템이 구조물에서 분리된 경우
등전위본딩은 기초부분에서 시행하여야 한다.
이렇게 하면 틀린 오답인가요?
접속된 시스템에서는 기초부분 or 지표면 부근 인데
지표면 부근이 기초부분 아닌가요 ㅠㅠ
질문2)
구조물에서 접속된 외부피뢰시스템의 경우④ 끝에
'SPD를 사용하는 경우 보호레벨은 보호구간 기기의 임펄스 내전압보다 작아야 한다.' 이 내용을
쉽게 설명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1.
등전위본딩을 지표면 부근에서 시행하는 이유는
접지를 지표면(대지)와 가장 가깝게 해주기 위함입니다.
즉, 외부의 낙뢰와 같은 피해가 발생하였을 때 안전하게 대지로 흐르기 위해서
지표면 부근에 시행하므로 교재와 같이 학습해 주시길 바랍니다.
2.
쉽게 말해 임펄스 내전압은 "짧은 시간동안 발생한 고전압"이라 생각해 주시면 됩니다.
따라서, 보호구간의 기기가 견딜 수 있는 전압보다 서지보호장치가 더 낮은 전압에 동작하여
보호기기에 가해지는 과전압을 감쇄시키도록 설계한다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