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질문입니다
- 작성자
- 김진원
- 작성일
- 2023-12-23 21:34:12
- No.
- 164280
- 교재명
- 2021 전기자기학
- 페이지
- 106
- 번호/내용
- 8) (1)
- 강사명
1. 2021 전기자기학 106p 8) (1)에 없는데 전기산업기사 18년 2회 9번에서 전류가 왜 쓰이나요?
2. 전기산업기사 14년 2회 50번에서 저항 증가한만큼 리액턴스가 감소한다고 답변주셨는데 저항이 증가한다고 리액턴스가 감소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3. 전기산업기사 16년 1회 75번에서 전류원과 저항이 병렬인 것을 전압원과 저항이 직렬이게 바꾸면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보기 1번과 같이 나타낼 수 있지 않나요?
4.전기산업기사 20년 3회 62번에서 인덕터는 개방이니 io는 R에만 흐르지 않나요? 초기일 때 흐르는 전류를 묻고 있으니 3번이 정답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M/μ가 전류 I가 됩니다. M의 단위 wb/m, μ의 단위 H/m 두개를 나누면 wb/H 해당 식은 자속을 L로 나눈 값이며 LI=파이 식에서 알 수 있듯이 전류의 패러미터와 동일하게 됩니다.
2) 14년도 2회 전기산업기사 50번 문항이 맞으실까요? 해당 질문과 관련한 내용을 문제에서 찾아볼 수 없습니다. 해당 문제 확인 후 다시 재질의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직렬 형태로 변환 시 등가회로는 맞으나, 저항 R에 흐르는 전류 Ir(t)는 달라지게 됩니다. 현재 문제에서 병렬상태에서 저항 R에 흐르는 전류를 구하라고 했기 때문에 해당 문제에서는 이와같이 변형 하시면 안됩니다.
4) 충분히 혼동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말씀하신 전류값은 실제 문제에서는 i(+0)과 같이 극한값으로 주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