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질문입니다

작성자
김진원
작성일
2023-12-30 10:01:00
No.
164357
교재명
2021 전력공학
페이지
66
번호/내용
(2) ③
강사명

1. 2021 전력공학 66p (2) 에서 병렬회로 수가 많아지게 되니 계통 연계를 하면 직렬 리액턴스가 작게 되는 거 아닌가요?


2. 2021 전력공학 209p 2)  의해  5000 아닌가요?

3. 왜 안의 유전율이 더 크나요?

COMMENTS

운영교수
2024-01-02 09:14:13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해당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안정도 향상 대칙 중에서 직렬 리액턴스 감소 방법입니다.

계통의 연계또한 안정도 향상 대책이 되지만, 이는 계통 전압 변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속합니다.

이때, 계통의 연계를 하면 부하가 병렬로 연결되어 리액턴스가 감소되는 것은 맞지만,

이것은 부하의 리액턴스로 보며, 선로의 직렬 리액턴스라 하기는 어렵습니다.

2.
수압은 높이에 비례하지만, 해당 문제에서 측면의 압력을 계산할 때

수도의 깊이에 따른 압력 차를 고려한 총 높이의 1/2를 곱해 평균 압력을 계산합니다.

해당 내용은 최근 전기기사 수준에서 크게 다루지 않으므로

전공도서를 참고하여 학습하거나 해당 공식을 암기해 주시길 권장드립니다.

3.
단심연피케이블 내의 전계의 세기 E = Q / 2πεr 이므로

E와 εr은 반비례합니다. 이때, E가 일정하려면 εr은 일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r₁ < r₂이기 때문에 ε₁ > ε₂가 되어야 E가 균일하게 되어 경제적 절연이 가능합니다.

즉,. 내측으로 갈수록 유전율이 비례해서 커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