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전력공학 6강 약 33분 부분에서의 질문입니다
- 작성자
- 쿠르미
- 작성일
- 2024-01-19 13:41:18
- No.
- 164696
- 교재명
- 속전속결 전력공학 2024
- 페이지
- 77쪽
- 번호/내용
- 전력원선도의 수전력만 그려서 나타낸 부분
- 강사명
F라는 수전원의 경계에 있는 점에서 정전압 운전을 하기 위해서 분로리액터를 사용하여 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F점이 부하직선보다 무효전력이 많으니까 이를 줄이기 위해 전력용 콘덴서를 쓰는 게 맞다고 생각이 듭니다
질의해 주신 내용에서 만약 역률 개선이 목적이라면 전력용 콘덴서를 사용하는게 맞습니다.
하지만, 해당 강의에서 설명하는 부분은 계통에 무효전력이 부하측이 필요로 하는 무효전력보다 과잉 공급하였을 경우에 해당합니다.
이때는 부하직선보다 과잉된 무효전력을 소비하는 기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때문에 계통에 분로리액터를 투입하여 무효전력을 소비하고, 부하에 필요한 무효전력만을 공급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