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지락시 건전상
- 작성자
- 매직
- 작성일
- 2024-01-26 15:42:18
- No.
- 164814
- 교재명
- 23년판전기기사실기기출
- 페이지
- 111
- 번호/내용
- 09
- 강사명
문제를풀수록 이해가 되지 않는게 자꾸 나오네요
ㅡ 3상중 1상(a상) 지락시 지락상에는 0v가되고
건전상에는 벡터도에의해 루트3배가 된다고
배웟고 그방식으로 17년3회 11번을 풀었습니다
ㅡ 그런데. 13년2회. 9번의경우 a상지락시
각상에 변류기를접속시켜 흐르는 전류값을
구하는건데
ㅡ 지락전류는 지락발생시점당시에 흐르는. 전류이고
ㅡ 나머지 건전상의 전류를 구하는데
해설강의에서 a상에 지락이생겨도
선간전압은 그대로 불변이라고 하는데요
여기서 많이 혼동스러운데요
질문) 17년 3회 11번과 무엇이 틀린지
지락시 건전상의 전위는 루트3배만큼 상승이
되므로. 부하전류구할때 전압에 루트3배를
추가로 곱해줘야 되는게 아닌지요?
17년 3회 11번의 지락시 전압과
13년. 2회 9번의 지락시 전압을 구할때
어떤차이가 있는건지 좀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접지저항이 0옴인 직접접지(이상적인경우)는 지락발생시 완전 0전위가 됩니다.
하지만 접지저항이 있는 경우는 전원에 병렬로 부하를 한개 더 시설한 것과 동일한 회로가 됩니다.
따라서 기존부하에 부하전류가 흐르고 지락이 발생하여 생긴 폐회로(새롭게 추가된 부하로 이해)에도 전류가 흐르며,
전압은 66/√3kV가 걸리게 됩니다.
즉, 직접접지와 저항접지의 해석을 달리 해야합니다.
2017년 3회 11번 문항은 직접접지 선로가 아닙니다.
해당 문제는 비접지(델타결선) 선로입니다. 아마 gpt의 1차측 접지를 전력선로의 중성점 직접접지식과 혼동하신듯 합니다.
비접지식 선로는 지락발생시 전위상승이 √3배가 되고 연결된 pt는 이를 저전압으로 변압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