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전선과 대지 사이의 자기인덕턴스 영상법 사용 질문

작성자
두두둠
작성일
2024-05-13 21:01:27
No.
168012
교재명
전기자기학 필기 이론
페이지
161p
번호/내용
전선과 대지 사이의 자기인덕턴스
강사명
이재현

전선과 대지 사이 자기 인덕턴스 구할 때 영상법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정전계에서 영상전하를 사용하는 이유가 전하와 대지 사이에 E, V, C, 전하 밀도 등을 해석하기 위해 대칭 전하 개념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영상전하의 결과로 무한도체표면이나 대지, 도체구의 표면에 접지될 경우 전위가 0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전선과 대지 사이 인덕턴스를 구할 때 영상법을 쓰게되면 대지가 없는 무한 공간의 자속보다 더 큰 자속이 생기게 되는데, 실제로도 대지와 전선 사이에 더 큰 자속이 존재하게 되는지, 그렇다면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얼핏 생각하기에는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대지나 무한도체표면에 전선으로 인한 자속이 생기는 것을 방해하기위한 전류가 유도되어, 자속이 대지에 갈 수록 약해질 것 같아 더 헷갈립니다. 

COMMENTS

운영교수
2024-05-14 09:16:09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전기영상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대지와 어떠한 전하 간의 값을 나타내는데 어려움이 있어

대지 즉, 전위가 0인 지점을 기준으로 같은 거리에 부호가 반대이고 크기가 같은 전하를 두었을 때 중첩의 원리에 의해

그 관계가 동일하게 성립한다라는 것을 이용한 것입니다.

따라서, 대지와 가공전선 사이의 인덕턴스를 계산하는 것이 가공전선과 대지와의 높이만큼 똑같이 떨어진 거리에서
전류가 반대로 흐르는 가공전선이 놓여 있는 상황과 동일선 상에 두고 그 사이 인덕턴스를 계산한 것입니다.

대지와 전선 사이 인덕턴스에서 자속이 곧, 앞서 유도한 두 전선 사이 인덕턴스에서 자속과 동일함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