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직렬연결 콘덴서 전압/내압
- 작성자
- don-ho
- 작성일
- 2024-05-14 08:20:28
- No.
- 168013
- 교재명
- 전자기학
- 페이지
- 58
- 번호/내용
- 26,27
- 강사명
- 최종인
안녕하세요
직렬연결 콘덴서 전압/내압 구하는 문제에서 문제26은 600V 전압이 주어젓고, 문제 27 에서는 1000V 내압이 주엇읍니다
문제26 의 600V 는 내압이 아닌관계로 600V 가 가장용량이 작은 C1 에 600V 전부가 걸리는 것이 아니라고 봐야되는지요?
. 27번에서는 용량이 작은 콘덴서에 내압1000V 가 모두걸렷읍니다
. 26번에서는 600V 중에서 통분한후 그비율만큼만 C1 에 걸렷읍니다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27번 문제에서 내압은,
전체 콘덴서의 내압이 1[kV]가 아닌,
1[kV]의 내압을 가진 콘덴서의 정전용량이 각각 0.01[μF], 0.02[μF], 0.05[μF]가 있고,
이는 각 콘덴서별로 1[kV]까지의 전압만 버틸 수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런데, 콘덴서 직렬 연결 시의 충전되는 전하량 Q는 동일해야합니다.
즉, 직렬 연결 시 Q1 = Q2 = Q3 = C1·V1 = C2·V2 = C3·V3가 되어야합니다.
따라서 정전용량과 전압은 반비례 관계이므로
정전용량이 제일 작은 콘덴서가 제일 큰 전압이 걸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