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답안 작성시
- 작성자
- 박성윤
- 작성일
- 2024-05-14 16:18:55
- No.
- 168021
- 교재명
- 2024년 전기기사 실기 기출문제집 (1권)
- 페이지
- 170
- 번호/내용
- 5
- 강사명
안녕하세요.
문제 5-2번에서
COS 정격전류 (연속 통전전류) 값 답안작성이
교재에는 100(AF)으로 작성 되어 있습니다.
그 밑에 해설에는 100(A) 로 표기가 되어있는데
A, AF 두개 모두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COS는 프레임의 퓨즈폴더에 퓨즈링크가 존재하는 형태입니다.
100AF는 프레임의 정격전류를 이야기하고 8A는 퓨즈링크의 정격전류를 이야기합니다.
COS의 프레임의 정격전류와 퓨즈링크의 정격전류가 구분되도록 100AF, 8A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AF(Ampere Frame)
차단기 프레임(외형) 용량으로 단락 등의 사고 시
화재, 폭발 등이 발생하지 않고 프레임이 견딜 수 있는 최대 전류이며,
AF 이상이 되면 차단기 프레임이 파손됩니다.
그리고 AF는 차단기의 크기를 결정합니다.
같은 AF에 각각 다른 AT를 갖고 있게되는데, 실제 설계시,
AT가 결정되면 AF는 해당 AT가 속하는 AF 중 차단기를 배치할 공간에 맞는 사이즈로 선정합니다.
(프레임의 크기는 클수록 좋겠지만, 실제는 판넬 내부에 차단기 취부시 공간상, 그리고 경제적 제약을 받습니다)
* AT(Ampere Trip)
차단기 트립용량(차단기고 동작하는 용량).
즉, 안전하게 통전 시킬 수 있는 최대 전류로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됩니다.
따라서 AT가 선정되면 그에 맞는 AF를 선정하며,
동일 AT 값이 각각의 AF에 존재한다면 작은 AF값으로 선정합니다.
즉, 동일 트립전류에서 외형이 작은 차단기를 선정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