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중근시 근궤적 범위, 영점 갯수 + 극점 갯수 = 짝수
- 작성자
- 두두둠
- 작성일
- 2024-06-02 18:40:02
- No.
- 168347
- 교재명
- 제어공학 이론교재
- 페이지
- 75
- 번호/내용
- 16번 중근시 근궤적 범위
- 강사명
- 이재현
질문1.
중근이 있을 때 근 궤적 범위가 아래 답변과 같다고 했습니다
-무한대 부터 -3, -3부터 -3, -3부터 0, 0부터 양의 무한대로 범위를 나눌 수 있고
근궤적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를 그리면
-무한대 부터 0까지 범위가 가능한 것 처럼 그려지지만 -3을 수직으로 그은 선(?)은 통과할 순 없는 걸로 이해하면 되나요?
질문2.
75쪽 16번 관련 질문 찾던 중에 헷갈리는 답변이 나와 추가 질문 드립니다..
질문1의 답변에서는 -3은 분지점이 될 수 없다고 하는데
아래 답변에서는 -3도 분지점이 될 수는 있으나 보기에 없다는 느낌입니다 ㅠ
질문3.
관련 질문들 계속 찾다보니... 계속 질문이 추가되네요
아래 교차점은, 점근선 교차점 말씀하신 거고 -2가 맞죠?
질문4.
영점,극점 갯수의 총 수가 짝수 일 때는 짝수 구간에 근궤적이 존재하는 건가요?
어디선가 영점 극점 갯수 합이 짝수면 근궤적을 그릴 수 없다는 글을 봐서 확인차 질문 드립니다
먼저, 학습에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근궤적이 존재하는 구간은 홀수 구간이므로
작성해 주신 예시로 -4, -3, -2, -1이라면
음의 무한대에서 우측을 바라보면 극점과 영점의 합이 4 즉, 짝수이므로 근궤적이 존재하지 않고
-4~-3 사이 의 경우 홀수, -2, -1, 사이의 역시 홀수이므로 해당 지점에 근궤적이 존재하게 됩니다.
음의 무한대에서 -3까지의 영역과 -3에서 0까지의 영역 모두 근궤적이 존재하게 됩니다.
즉, 이탈점은 -1과 -3 모두 해당이 되며 문제 보기에 따라 -1이 정답이 되겠습니다.
두번째 답변을 참고하여 학습해 주시길 바랍니다.
또한, 근궤적 존재영역은 어떠한 지점에서 우측을 바라보았을 때 영점과 극점의 합이 홀수냐 짝수냐에 따라
홀수일 경우 지점에 포함되는 구간은 근궤적이 존재하는 구간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