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분권 전동기의 계자 저항과 속도
- 작성자
- 두두둠
- 작성일
- 2024-06-06 22:58:22
- No.
- 168454
- 교재명
- 전기기기 이론
- 페이지
- 38
- 번호/내용
- 분권 전동기의 계자 저항 증감 및 단선
- 강사명
- 이재현
전기기기 38p
분권 전동기의 계자 저항 증가하면 속도가 증가하고, 단선시 과속도가 될 수 있다
이 부분에서 두 공식이 충돌하여 헷갈립니다.
역기전력 E = KΦN
속도 특성 N = E/KΦ = k*(V-IR)/Φ 인데
if가 감소하면 Φ가 감소하고, 분자의 E감소와 분모의 Φ감소가 동시에 일어나서
속도의 증감이 판단이 안됩니다.
단락시에 과속도가 "될 수 있다"는 표현에서 위험 가능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그렇기엔 계자 저항 감소시 "속도가 증가"로 표현돼 확실한 이유가 있을 듯 한데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위험속도에 도달하는 것은 운전 중 갑작스런 자속의 공급이 0이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분권 계자회로의 단선이 발생할 경우 자속이 0이 되어 속도가 초기에 과속도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핵심은 갑작스러운 자속 = 0입니다. 서서히 자속이 0이 될 경우 계자전류에 따른 유기기전력이 감소하지만
단선 시는 자속이 순간 0이 되어 속도 공식에서 분모가 0이 되어 과속도가 된다 생각해 주시길 바랍니다.